오천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김경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김경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5년 10세손 진호(鎭祜)·광호(光祜)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규헌(李圭憲)·김준식(金駿植) 등의 서문, 권말에 후손 진호·요원(堯元) 등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 시 4수, 전(箋)·장(狀)·서(書) 각 1편, 잡저 4편, 제문 2편, 행장 1편, 권2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경기도 안성전투에 참가한 사촌동생 신남(信男)이 승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지은 「문종제판관안성파적(聞從弟判官安城破賊)」이 실려 있다.

전의 「헌곡포전(獻穀布箋)」은 1592년 임진왜란 중에 고향인 전라남도 장성에서 김제민(金濟閔)과 함께 모집한 군수품 중 쌀 300석과 모시 15필을 법성포(法聖浦)를 통하여 행재소로 보내면서 임금에게 올린 것이다.

한편, 임진왜란 중에 오산(鰲山) 남문에 설치한 의병도청(義兵都廳)의 맹주(盟主)로 있으면서, 도유사 서곤(徐滾)과 함께 도체찰사의 임무를 띠고 그곳에 온 정철(鄭澈)에게 흩어진 민심을 수습할 방안과 사기를 고취시킬 대책을 10여조에 걸쳐 진언한 「상도체찰사정상국서(上都體察使鄭相國書)」가 있다.

「창의일기(倡義日記)」·「남문창의격문」·「천병호향통문(天兵犒餉通文)」 등은 전란사를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이밖에도 임진왜란 때 진주·남원 등지에서 전사한 김부(金溥)와 그의 아들 극후(克厚)·극순(克純) 등을 상대로 지은 뇌사(誄詞)와 가정수칙(家庭守則)을 기술한 「가훈(家訓)」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