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갑야화 ()

열하일기 / 옥갑야화
열하일기 / 옥갑야화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소설.
정의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소설.
개설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수록되어 있다. 열하로부터 북경으로 돌아오던 중에 옥갑이란 곳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저자가 일행인 여러 비장(裨將)들과 주고받은 이야기들을 기록한 것이다. 형식상 설화를 기록한 야담에 가깝다. 뛰어난 표현력과 사상성에서 독립된 한 편의 소설로 볼 수 있다. 「옥갑야화」는 조선 후기 역관(譯官)들의 중국 무역과 관련된 일화들과 허생이라는 주1에 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후자가 작품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 허생전(許生傳)’이라 불리기도 한다.

내용

「옥갑야화」는 중국 상인을 속여 치부한 어느 역관이 결국은 주2한 일화, 역관 이추(李樞)는 그러한 시류에 초연하여 군자다운 풍모가 있었다는 일화, 역관 홍순언(洪純彦)이 주3로 팔린 여인을 구해준 의협적인 행동으로 중국인의 신망을 모은 일화, 북경의 한 부상(富商)이 죽은 뒤에 예전에 그의 고용인이던 상인 하나가 영락한 그 손자를 돌보아 준 일화, 중국 상인들의 신용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일화, 국중의 갑부로 유명했던 역관 변승업(卞承業)에 관한 일화 등이 실려 있다.

「옥갑야화」는 역관들이 주4으로 축재하여 종종 거부가 되기도 했던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신의에 바탕을 둔 해외 통상의 발달을 긍정하는 실학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이러한 일화들은 허생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펴기 위한 도입부의 구실을 한다.

서울 남산골 선비 허생은 변승업의 조부인 변씨로부터 빌린 돈으로 상품을 주5하여 거금을 마련한다. 그리고 주6를 회유하여 무인도에 이상촌을 건설한다. 이로 인하여 허생이 비범한 인물임을 깨달은 부자 변씨는 북벌(北伐)에 대비하여 인재를 찾고 있던 어영대장 이완(李浣)에게 허생을 천거한다. 허생은 자신이 제시한 북벌책에 대하여 이완이 난색을 표하자 사대부의 무사안일을 질타한 뒤 종적을 감추고 만다.

의의와 평가

「허생전」은 국내외적으로 상품교역이 활발해지던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고(都賈) 상업의 성행, 군도의 창궐, 북벌론의 허구성 등 당대의 사회문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허생전」은 주7의 실학을 갖춘 이상적인 선비상을 제시한 점에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문학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탁월한 성과를 거둔 작품이다.

참고문헌

『열하일기연구(熱河日記硏究)』(김명호, 창작과비평사, 1991)
『연암소설연구(燕巖小說硏究)』(이가원, 을유문화사, 1965)
「한문단편(漢文短篇) 형성과정(形成過程)에서의 강담사(講談師)」(임형택, 『창작과 비평』49, 1978)
주석
주1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사는 선비. 우리말샘

주2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몸을 망침. 우리말샘

주3

몸을 파는 천한 기생. 우리말샘

주4

법을 어기고 몰래 무역함. 또는 그런 무역. 우리말샘

주5

물건값이 오를 것을 예상하여 한꺼번에 샀다가 팔기를 꺼려 쌓아 둠. 우리말샘

주6

떼를 지어 도둑질을 하는 무리. 우리말샘

주7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