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담 ()

구비문학
개념
조선후기에 한문으로 기록된 비교적 짤막한 길이의 잡다한 이야기. 설화.
이칭
이칭
설화
내용 요약

야담은 조선 후기에 한문으로 기록된 비교적 짤막한 길이의 잡다한 이야기이다. 설화, 소화, 일화, 야사, 한문단편 등이 포함된 복합적인 갈래이다. 실제 인물의 사실담, 역사적 사건, 일화, 사회적 세태를 밝힌 이야기 등 내용도 다채롭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은 야담이라는 명칭을 표제에 붙인 최초의 책이다. 이 책은 서사적인 이야기는 물론 단편적인 지식과 관심사도 포괄하고 있다. 조선 후기 야담집으로 『청구야담』, 『계서야담』, 『동야휘집』이 대표적이다. 야담은 설화를 한문으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져 상하층의 근접을 증명한다.

정의
조선후기에 한문으로 기록된 비교적 짤막한 길이의 잡다한 이야기. 설화.
개설

‘야담’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는 한국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이것의 갈래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야담이 민간전승 과정을 거친 데다 민간전승의 골격을 유지하므로 모두 설화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고, 야담 안에 전설, 민담, 소화, 일화, 야사 등 설화적인 작품이 있는가 하면 ‘소설’적인 것도 있으니 복합 갈래로 보자는 주장도 제기되어 있다.

어떤 이는 야담 중에서 ‘소설’에 가까운 작품들만 따로 골라내어 ‘한문단편(漢文短篇)’이라 명명하기도 했다. 한문으로 기록되다 보니 주1 · 주2한문학 갈래와의 관계도 문제가 되는데, 대등하다는 의견과 필기의 하위 범주로 보자는 주장이 대립된다. 기존의 특정 갈래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하고, 다양한 야담집들의 실상을 두루 포괄하려 할 경우, 복합 갈래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

연원 및 변천

야담 갈래의 복합성을 인정하면, 그 연원도 단순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모든 야담을 설화의 기록정착 즉 문헌설화로 보는 주장에서도, 야담은 실사(實史)에 치중한 면이 많아 설화와는 구별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으니, 설화의 발생 및 전개과정을 야담의 발생 및 전개과정과 동일시하여 서술할 수 없다.

‘야담’이라는 명칭을 표제에 붙인 최초의 책은 17세기 전반 유몽인『어우야담(於于野談)』이다. 이 책은 서사적인 이야기뿐 아니라 주변에서 들은 단편적인 지식이나 관심사까지도 포괄하고 있어, 초기에는 야담이란 용어가 상당히 넓은 뜻을 가진 말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학산한언(鶴山閑言)』이나 『천예록(天倪錄)』 등이 나오면서 점차 문학적인 것 특히 서사적인 이야기들만을 지칭하는 말로 의미가 축소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시대 말엽, 산문문학의 발달 추세에 힘입어 일부는 ‘한문단편(漢文短篇)’이라는 용어를 써도 될 만큼 소설화의 경향을 띠기도 하였다.

야담의 기록자는 단순한 줄거리의 복사에서 나아가 하나의 단편을 바탕으로 이를 부연 · 윤색하거나 또는 여러 단편들을 결합하여 장편화하기도 하였으며, 단편에 창의(創意)를 가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야담은 종전처럼 단순한 견문(見聞)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거기에 기록자(개인작가)의 창작적 요소가 덧붙여졌을 때, 이제껏 민중 속에 전승되는 설화에 지나지 않던 것이 마침내 소설문학으로까지 변모될 수 있었다.

야담은 이야기꾼들에 의해서 이야기되거나, 또는 유식자에 의하여 문자화된다. 일단 문헌에 정착된 이야기는 또 다른 유식자에 의하여 전사(轉寫)되거나 또다시 구전되기도 한다. 이러한 야담의 전승적 특질 때문에 현전하는 많은 야담들의 내용은 유사성과 함께 차이점을 보여준다.

가령 ‘홍순언(洪純彦)이야기’의 경우 ‘의기(義氣)와 보은(報恩)’이라는 뼈대는 공유하면서도 야담집별로 서사구조와 서술문면에서 다양한 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어떤 계열에서는 운명론적인 사고 방식 아래 주인공이 행한 의기 행위를 긍정적으로 내보이는 데 주제를 두고 있으며, 어떤 계열에서는 큰 의기를 지녔던 한 영웅적 존재의 면모를 적극적으로 그려 보이며 그로 인해 가능할 수 있었던 나라에 대한 충성을 기리고 드날리는 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

내용

야담이 복합적인 갈래이기 때문에 내용도 매우 다채롭다. 실제 인물의 생애에서 있었던 일을 평면적으로 전달하는 사실담도 있고, 역사적 사건이나 일화에 약간의 윤색이 가해진 이야기도 있으며, 등장인물의 실재성 여부가 어떻든 비상하게 날카로운 구성과 전형화를 통해 사회적 갈등이나 세태의 일면을 주3한 이야기도 있다.

그간 야담의 내용 연구 중에서 서술시각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한 성과를 수용하여, 욕망의 성취 · 문제의 해결 · 이상향의 추구, 등으로 나누어 주요 내용을 소개하기로 한다. 물론 야담에는 운명의 실현 · 이념의 구현을 담은 유형도 있으나 앞 시대의 서사체에서도 다루어진 것이므로 생략한다.

욕망의 성취를 다룬 야담은, 주인공이 자신의 욕망을 성취해 가는 과정을 서술하는 야담이다. 주로 벼슬이나 재산 같은 사회 · 경제적인 것이나 애욕 같은 감정적인 것에 대한 욕망을 추구하고 향유하는 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성향이지만, 욕망의 성취란 서술시각은 조선후기에 표나게 등장한 것이다.

「영산업부부이방(營産業夫婦異房)」이 그런 작품의 예이다. 줄거리는 이렇다. 김생이 일찍 부모를 여의고 머슴살이를 하다 스물여섯에 장가를 들었다. 첫날밤을 지낸 뒤 그 아내가 제안하기를, 10년을 기한으로 재산을 모으되,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침도 하지 말고 죽으로 끼니를 잇자고 하였다. 6-7년이 지나 돈과 곡식이 집안에 가득 차게 되었으나, 약속한 기한이 차지 않아 여전히 죽만 먹었다.

10년 후 목표를 달성한 이 부부는 도내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되었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나이가 들어 자녀를 낳을 수 없었다. 하는 수 없이 같은 성을 가진 아이를 데려다 양자로 삼으니 그 후손이 크게 번창하였다고 한다. 줄거리에서 보듯, 오로지 부자가 되겠다는 욕망을 성취하기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거나 절제하고 있어 그 욕망의 강렬성을 느끼게 한다.

문제의 해결 과정을 다룬 야담은, 주인공이 당면한 혼란이나 고난을 해결하여 기존 질서와 상황을 회복하고자 한다. 조선후기에 들어 사대부 사회가 동요되고 사대부들의 존재 기반이 도전을 받으면서 상실했거나 상실위기에 몰린 기득권을 되찾기 위해 부심했던 현실을 반영한 이야기로 보인다.

「조태억위영남백(趙泰億爲嶺南伯)」이 그 예이다. 줄거리는 이렇다. 경상 감사 조태억이 지방을 순시하다 언양객사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안면이 없는 빈궁자(貧窮者)가 객사로 뛰어들어 아는 체하기에 받아주고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 주위가 조용해진 다음에 조태억이 무슨 사연이냐고 물었다. 빈궁자는 주4하러 나왔다가 노비들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았는데, 조태억의 도량이 넓다는 소문을 들었기에 찾아왔다고 하였다.

조태억은 빈궁자에게 세상사는 자세에 대해 충고해 주고 추노를 잘하게 해주었다. 그 빈궁자는 조태억의 도움으로 추노를 하여 무사히 귀경하였다. 이 야담에 등장하는 빈궁자는 양반이다. 사회적 특권을 누리던 양반이 그 기득권에 도전을 받아 가난뱅이 모습으로 전락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 주인공이 조태억의 도움을 받아 위기에서 벗어나고 추노에도 성공한다는 것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해 과거의 체제를 회복하기를 바라던 당대 양반사대부 집단의 의식구조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상향의 추구를 담은 야담은, 주인공이 기존의 현실 공간을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고 있는 가장 이상적인 공간을 건설하거나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다. 이는 고단하게 살아가던 민중과 가난한 사대부의 절망과 희망을 반영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식단구유랑표해(識丹邱劉郞漂海)」가 그 예이다. 줄거리는 이렇다. 유동지(劉同知)는 강원도 고성 사람인데, 동네사람들과 함께 미역을 채취하러 나갔다가 표류했다. 어떤 섬에 닿았는데 세 명만이 살아남았다. 흰옷 입은 동자가 자기네 선생의 처소로 인도했다. 동자의 선생은 머리에 아무 것도 쓰지 않았고, 떨어진 베옷을 입었으며, 얼굴이 검었다. 노인은 자기도 고성 사람인데 표류하여 그곳까지 왔다고 하였다.

그 섬에는 맑은 모래와 푸른 소나무가 펼쳐진 사이로 금사초(金莎草)가 자라고 있었다. 간간이 인가가 있었는데, 사람들은 농사를 짓거나 누에를 치지 않고, 다만 주5을 마시고 풀옷을 입을 따름이었다. 노인은 그 섬이 동해의 단구(丹邱)라 했다. 표류한 세 사람은 노인에게 간청하여 해 뜨는 곳을 구경하고, 고향의 부모처자가 그리워 돌아가려 했다. 노인은 그곳의 하루가 인간 세상의 일 년이어서 이미 50년이 흘렀다며 귀가를 말렸다.

그들은 고집을 부려 배를 타고 돌아왔는데, 유동지는 배 안에 있던 경액 3병을 훔쳤다. 고향에 돌아오니, 동네 모습이 완전히 달라졌고, 자기 집을 찾아가도 아는 사람이 없었다. 부모, 처자, 자식까지 모두 죽고 없었다. 집주인은 유동지의 손자였는데, 유동지가 승선한 날을 기일로 삼아 제사 지내고 있었다. 두 명은 돌아와 주6을 하여 몇 년 만에 죽었으나, 유동지는 훔쳐온 경액을 조금씩 마셔 건강하게 200년 넘게 살았다. 고성에 원이 부임할 때마다 반드시 그를 불러 그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이 야담은, 어로 현장에서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일해야 하는 어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는 같은 이상향 이야기라도, 향락의식이나 정치의식이 개입된 사대부들의 그것과는 구별된다. 현실의 지극한 고난과 절실한 필요에 의해 형성된 이상향이기에 그곳은 발견자의 노동생활과 관련된 공간으로 묘사된다.

현황

대표적인 야담집들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유몽인(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談)』, 임방(任埅, 1640~1724)의 『천예록(天倪錄)』, 숙종 때(1674∼1720) 인물인 신돈복(辛敦復)의 『학산한언(鶴山閑言)』, 18세기의 인물인 노명흠(盧命欽)의 『동패낙송(東稗洛誦)』, 임매(任邁)의 『잡기고담(雜記古談)』, 19세기 인물인 이현기(李玄綺, 1796∼1846)의 『기리총화(綺里叢話)』, 김경진(金敬鎭)이 편찬한 것으로 보이는 『청구야담(靑邱野談)』, 이희평(李羲平, 1772∼1839)의 『계서야담(溪西野談)』, 1828년의 『기문총화(記聞叢話)』, 1833년에 편찬된 『계서잡록(溪西雜錄)』, 19세기 인물인 배전(裵전 文+典)의 『차산필담(此山筆談)』, 서유영(1801∼1874)『금계필담(錦溪筆談)』, 이원명(李源命, 1807∼1887)『동야휘집(東野彙輯)』, 기타 찬자와 연대 미상의 『해동야서(海東野書)』 · 『기문총화(記聞叢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계서야담』 · 『청구야담 』 · 『동야휘집』 세 문헌은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어 우리나라 ‘3대 야담집’이라 부를 만하다. 20세기 들어 1926년에 한양서원(漢陽書院)에서 간행된 강효석(姜斅錫)의 『대동기문(大東奇聞)』도 주목할 만하며, 『대동야승(大東野乘)』이나 『패림(稗林)』 같은 거질의 총서 가운데도 야담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들 야담집의 대부분은 거의 다 번역되어 이용하기 편하다.

야담의 성행과는 달리 1970년대 초까지 이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 성과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나마 소설사를 기술하면서 소설의 전 단계로서 야담을 상정하여 ‘설화의 소설화’ 또는 ‘소설의 배경설화’를 언급하거나, 한문학사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한문학 작품의 예로서 야담집이나 야담 자료를 논급하는 정도였다.

초기의 연구성과로서 김태준, 조윤제(趙潤濟), 김동욱 등의 선구적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야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이우성 · 임형택 역편 『이조한문단편선』이 나온 1970년대에 들어서였다. 상당한 수의 신진학자들이 연구 대열에 참가하여 다양한 측면으로 야담을 집중 고찰한 결과 풍성한 성과를 얻고, 국문학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쟁점별로 정리해 보면, (1) 형성론 (2) 갈래론 (3) 찬자론 (4) 유형론 (5) 문헌학적 연구 (6) 전개양상론 (7) 개별야담집론 (8) 개별 야담 작품론 (9) 변이양상 및 소설화과정 (10) 다른 갈래와의 관련 양상 (11) 근대문학과의 관련 양상 등이다.

형성론에서는, 김태준의 직업적 설서가(說書家)설에 이어, 임형택에 의해 ‘근원사실→(구연화)→이야기→(기록화)→한문단편(야담)’설이 제기되어 아직까지 대세를 이루고 있다. 갈래론은 야담을 설화로 보던 데에서 최근에는 여러 하위 갈래의 복합체로 규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찬자론에서는 찬자를 모르던 상황에서 새로 밝힌 경우, 잘못 알려진 찬자를 바로잡은 경우, 알려진 찬자의 의식이나 배경을 고증한 경우 등 진전된 성과가 있었다.

유형론에서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야담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유형론에서부터 특정 내용을 갖춘 야담들만을 대상으로 유형 분류한 성과로 나뉘어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여러 시도가 이루어졌다. 문헌학적 연구에서는 이본을 고찰하여 이본들간의 질서를 부여하는 경우, 전대 문헌을 수용하는 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경우로 전개되었다. 전개양상론에서는 현전하는 야담집들이 과연 전대 문헌들과 어떠한 관련을 맺으면서 존재하는지 밝히는 데 주력하여 일정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개별야담집론에서는 한 야담집의 성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를 두고 논의들이 펼쳐졌다. 작품론에 치중한 경우도 있고 형식이나 역사적 위상에 초점을 맞춘 경우도 있었으나 이로 말미암아 개별 야담집의 성격이 어느 정도 드러났다. 개별 야담 작품론에서는 개개의 야담집에 수록된 개별 야담 작품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사회・역사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다루다가 상징적 의미, 서술자와 발화자의 관계를 다루는 등 새로운 관점에서 다루기도 하였다.

변이양상 및 소설화과정론에서는 근원사실이 왜 어떻게 이야기화하며, 개별 이야기들이 왜 어떻게 소설로까지 변모하는지를 밝혔다. 다른 갈래와의 관련양상론에서는 인접갈래인 전・소설과 야담이 어디까지 같고 다른지를 해명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근대문학과의 관련 양상론에서는 야담과 신소설 또는 근대 단편소설과의 관계를 밝혀, 야담이 근대로 계승된 양상을 드러내었다. 야담이 근대잡지와 맺고 있는 관련 양상에 대한 조명도 이루어졌다.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여전히 쟁점이 해소되지 않거나 미처 논의가 미흡한 것도 있다.

의의와 평가

야담은 한국에만 존재하는 용어이다.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민요를 한시로 옮기면서 악부시가 만들어지듯, 설화를 한문으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야담이 만들어져, 한문문학에 새바람을 일으키는 구실을 하였다.

야담은 구비문학과 기록문학, 국어문학과 한문문학이 만남으로써, 우리 문학사의 특징 중의 하나인 상하층의 근접과 교류를 증명하고 있어 소중하다. 야담이 주로 사대부층이나 중인층에 의해 이루어졌으면서도 정통한문문학과는 달리 당대 사회의 갖가지 모순과 갈등 및 여러 계층에 걸친 인물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성격에서 유래한다 하겠다.

거기에 작자(편자)층이 당시의 변환기적 사회상을 체험하면서 중세적 질서에 대해 비판 혹은 회의의 시각을 지녔기 때문에 더욱 더 그같은 특징이 부각되어, 중세를 지나 근대를 여는 데 일정한 구실을 하였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 야담의 전개양상과 그 의미』(이신성, 2006)
『한국 야담 연구』(이강옥, 돌베개, 2006)
『야담문학연구의 현단계』 1,2,3(정명기, 보고사, 2001)
『한국야담문학연구』(정명기, 보고사, 1996)
『한국문학의 이해』(김흥규, 민음사, 1986)
『문헌설화의 연구』(조희웅,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조선후기문헌설화의 연구』(조희웅, 형설출판사, 1980)
『이조한문단편선집』 상·중·하(이우성·임형택, 일조각, 1973·1978)
『한국설화문학연구』(장덕순,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주석
주1

패관이 소설과 같은 형식으로 꾸며서 쓴 역사 이야기.    우리말샘

주2

민간에 떠도는 짤막한 이야기.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 문물 제도, 세태 풍속, 고을 이름 따위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로 전설적ㆍ교훈적ㆍ세속적인 기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말샘

주3

남김없이 밝히어 그려 냄.    우리말샘

주4

도망간 종을 찾아오던 일.    우리말샘

주5

신비로운 약물.    우리말샘

주6

불에 익힌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