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복 ()

목차
관련 정보
영친왕비 적의
영친왕비 적의
의생활
물품
왕비의 정복.
목차
정의
왕비의 정복.
내용

왕비는 왕의 신분에 준하기 때문에 왕비가 입는 옷은 제도적으로 정하여졌다. 삼국시대를 전후하여 국가의 제도가 정비되었고 의관제도(衣冠制度)도 정립되었으므로 왕비복도 그 당시부터 입혀진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시대의 왕비복은 계(罽)·수(繡)·금(錦)·나(羅) 등을 사용해서 화려한 표의를 입었다.

바지[袴]·내의·반비(半臂)는 계·수·나로, 표(裱)는 계·수·금은사·공작꼬리·비취털 등으로 만들었으며, 버선[襪]도 계·수·나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직물로 만든 삼국시대의 왕비복은 직령(直領: 직선의 여밈깃)에 요대(腰帶)를 매어 입었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제복인 곤면복이 제정되었으므로 왕비복에도 적의(翟衣)가 제정되었다고 본다.

그것이 그대로 조선시대에 전해졌는데 조선 중기의 기록에는 적의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자료에 의하면 대왕대비는 자색의 적의를 입고, 왕비는 다홍색의 향직(鄕織)으로 만들고 이금(泥金)으로 꿩을 그린 적의를 입었다.

내의도 다홍색 향직으로 만들었고 폐슬(蔽膝: 무릎을 가리기 위하여 허리 아래로 늘이는 장방형의 천)은 다홍색 향직에 5색의 다회를 달아서 썼다. 이것은 조선 말기에 왕비의 제복으로 전하는 아청색(鴉靑色)의 직성(織成)한 적의와는 그 유례가 다르다. 왕비가 국혼(國婚)에 입는 적의는 법복(法服)이라 한다.

이에는 패옥(佩玉)을 달고 백옥의 규(圭)를 들며 대(帶)를 띤다. 흉배는 전후좌우에 다는데 하나는 반대 방향으로 만들어야 좌우의 어깨에 맞는다. 신은 적석(赤舃)을 신고, 버선도 붉은 색으로 된 것을 신는다. 이 적의는 왕비의 대례복이고 소례복은 다홍색의 원삼(圓衫)이다.

조선시대 왕비의 원삼은 직금단(織金緞)으로 홍색의 용문(龍文) 스란치마와 같이 입는데 앞에는 청색의 스란 웃치마를 입는다. 왕비의 웃치마는 직금된 용문을 사용하였다. 적의에는 적관(翟冠)을 쓰지만 조선 후기에는 완용되어 대수머리에 떨잠을 여러 개 꽂아서 입었다. 원삼에는 큰머리를 하는데, 어여머리라 하여 다리를 사용하거나 나무로 만든 어여머리를 쓰기도 하였다.

왕비의 원삼은 소매가 길고 넓으며 소매 끝단에는 넓은 한삼이 봉재되어 있다. 평상 예복으로는 당의를 입었다. 당의는 조선 초의 단배자(短背子)에서 나온 것으로 양옆이 터지고 길이는 엉덩이 정도로 평상복 저고리와 유사한 형태이다. 조선 말기에 왕비가 입었던 당의에는 원삼과 같이 직금의 문양을 넣어 짠 것이 있다.

당의에는 대개 용첩지를 쓰고, 머리는 쪽을 찌고 봉잠을 꽂는다. 평상복은 일반 서민의 복식과 거의 같되 색이나 직물에 차이를 두고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가례시에는 특히 단저고리를 입었는데, 이것은 청색 계통의 길에 홍색 금선(金線)을 댄 저고리로 왕비의 가례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것이었다.

왕비의 의복도 일반 의복과 마찬가지로 시대에 따라 세부적인 형태가 변해왔는데 그 유행은 왕비복이 다소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상방정례(尙方定例)』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