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 궁산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온천군 궁산마을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빗살무늬토기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이칭
이칭
궁산유적
정의
북한 평안남도 온천군 궁산마을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빗살무늬토기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개설

1950년에 북한의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 고고학부에서 발굴하여 움집 5기와 6개의 구덩을 찾았다. 집자리는 대개 원형이며 바닥은 찰흙으로 다졌고 화덕〔爐址〕과 기둥구멍이 드러났다. 화덕 곁에서는 밑창을 떼어내고 거꾸로 박아놓은 큰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이 속에 녹색 염토가 굳어 있는 것은 유기물이 썩은 것으로 보인다. 즉 저장을 위한 움이었을 것이다.

광량만에 닿은 벌판의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는 해발 100m 미만의 구릉 가운데에는 궁산마을에 접한 2개의 언덕이 있다. 이 중 남쪽의 해발 20m의 것을 소궁산이라고 한다. 유적은 이 소궁산의 동남쪽으로 향한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

내용

제1호 집자리는 120∼130㎝ 깊이의 둥근 형태로 지름은 5.6∼5.8m이다. 테두리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남아 있는 기둥구멍은 모두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원추형 집으로 판단된다. 바닥은 단단하게 다졌다. 집자리 중앙부에는 지름 80∼90㎝의 원형에 가까운 30㎝ 깊이의 화덕이 있었고 그 둘레에는 깨진 판돌조각을 올려 놓았다.

제3호 집자리는 제1호에서 서북쪽으로 약 50m 거리에 있었다. 분명하지는 않지만 지표에서 120∼130㎝ 깊이의 풍화된 암반층에 있었고 화덕자리가 있었다. 제4호 집자리는 밑테두리 지름 5.2∼5.5m, 윗테두리 지름 약 6.2m로 불규칙하였다. 깊이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점점 얕아져서 남쪽 끝은 55㎝였으나 남쪽 일부가 파괴되어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었다.

바닥은 5㎝ 두께로 진흙으로 다졌고, 중앙부분에 지름 약 80㎝, 길이 약 20㎝ 규모의 화덕이 있었고 안은 재로 가득 차 있었다. 화덕 옆에는 토기가 거꾸로 놓여 있고 밑부분은 없어져 있었다. 이 토기 안에는 조개껍데기와 생선뼈 등이 담겨 있었고 판돌로 덮여 있었다.

제2호 집자리는 제4호 집자리가 폐기되고 난 뒤에 퇴적된 조개껍데기를 들어내고 마련된 것이다. 깊이는 약 70㎝에 이르나 파괴되어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다. 남북 85㎝, 동서 75㎝ 규모의 화덕이 있었고 그 둘레는 진흙으로 테두리를 만들었다.

제5호 집자리는 제2호 집자리의 동남쪽 약 200m 거리에 있었다. 긴축〔長軸〕을 동북-서남선상에 두고 있는 부정형 원형이다. 중앙부의 길이 5.2m, 동북쪽 너비 2.9m, 서남쪽 너비 4m이다. 동남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는 화덕은 남북 약 50㎝, 동서 약 70㎝, 중앙부 길이 약 35㎝이다.

출토유물로는 빗살무늬토기편·민무늬토기편·돌촉〔石鏃〕·돌창편〔石槍片〕·그물추〔漁網錘〕·갈돌·돌괭이〔石鋤〕·돌도끼〔石斧〕·돌대패·돌끌〔石鑿〕·숫돌〔砥石〕·뼈송곳〔骨錐〕·뼈바늘〔骨針〕 등 다수가 있다. 이 유적은 유구 및 출토유물을 통해볼 때,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의 시기를 달리하는 주거지유적임이 분명하다.

의의와 평가

이 유적은 서해안 신석기문화를 대표하며 이곳의 문화상을 ‘궁산문화’라 부른다. 1·3·4호 집자리는 궁산문화 1기로 BC 4000년기에 해당하며, 2·5호 집자리는 궁산문화 3기로서 BC 3000년기 중반으로 편년되고 있다.

참고문헌

『우리나라 원시집자리에 관한 연구』(북한 사회과학출판사 편, 1975)
『궁산원시유적발굴보고』(북한 과학원출판사 편, 1957)
『브리태니커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