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창 ()

선사문화
물품
선사시대에 사냥 및 어로 도구나 전쟁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돌창.
이칭
이칭
돌창
물품
재질
용도
사냥|어로|무기
제작 시기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
내용 요약

석창(石槍)은 선사시대에 사냥 및 어로 도구나 전쟁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돌창이다. 구석기시대에는 뗀석기인 슴베찌르개가 대표적이며, 신석기시대에 간석창이 출현하여 뗀석창과 공존하다가 청동기시대에 간석창만 사용하였다. 사냥용 도구로 처음 등장하여 점차 어로 활동이나 전쟁에도 이용되었다.

정의
선사시대에 사냥 및 어로 도구나 전쟁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돌창.
구석기시대의 슴베찌르개

구석기시대의 석창으로는 뗀석기주1가 대표적이다. 끝이 뾰족한 삼각 모양에 자루 장착을 위한 주2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 구석기시대에 한반도에서 새롭게 등장한 독창적인 석기 형식이다. 사냥에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측면 날을 사용한 다른 기능의 추정도 가능하다.

남한 전역에서 확인되는데, 일본의 규슈〔九州〕 지역에서도 발견되어 당시 한반도와의 교류 관계를 밝히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부분 주3 기법으로 제작되며, 일반 격지나 좀돌날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돌감은 주4, 주5, 주6 등이 주로 이용되었다.

신석기시대의 석창

신석기시대의 석창은 크게 뗀석기와 간석기로 구분된다. 형태에 따라서는 슴베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장착 방식이 다를 뿐 자루를 끼워서 사용하는 것은 같다. 자루를 장착한 다음에는 끈으로 감아서 강하게 결박하며, 이를 위해 석창의 아래쪽에 구멍을 뚫거나 홈을 파기도 하였다. 뗀석기는 슴베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모두 관찰되는 데 반해, 간석기의 경우 없는 것만 확인된다.

주로 사냥할 때 사용되지만, 어로 활동에 이용하는 작살과의 구분이 쉽지 않다. 이는 석창이 두 가지 용도 모두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 비교적 큰 것을 사냥용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여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었다.

청동기시대의 석창

청동기시대의 석창은 모두 간석기로 제작되었다. 역시 슴베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어지며, 자루 장착 시 끈 연결을 위한 구멍이나 홈도 관찰된다. 나무로 만든 자루가 썩어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슴베가 있는 돌검과의 구분이 어렵다. 돌검보다 석창의 자루가 길어 더 강한 결박이 필요하다는 점을 근거로 슴베가 긴 것만을 석창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밖에 슴베 양옆에 두 개의 주7이 추가된 형식을 ‘쌍미늘 석창’이라 부르기도 한다.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사냥 도구 이외에 무기로 사용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여 늦은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돌감은 주8이나 퇴적 주9류를 주로 이용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손준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서경, 2006)

논문

박가영, 「한반도 출토 슴베찌르개 연구」(『영남고고학』 64, 영남고고학회, 2013)
하인수, 「신석기시대 석기의 종류와 양상」(『박물관연구논집』 15, 부산박물관, 2009)
이종철, 「쌍미늘 석창 소고」(『연구논문집』 7,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주석
주1

슴베를 만들어서 창이나 화살 따위에 꽂아서 쓰는 찌르개.    우리말샘

주2

칼, 괭이, 호미 따위의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우리말샘

주3

돌날떼기로 돌에서 떼어 낸 길이가 너비의 두 배를 넘는 긴 격지. 후기 구석기 시대에 발달한 것으로 그대로 칼날같이 쓰거나 약간 손질하여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4

미세한 진흙이 쌓여서 딱딱하게 굳어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5

변성 작용이 완전히 되고 미세한 알갱이들이 등립상(等粒狀)을 보이는 광물로 이루어진 변성암. 접촉 변성 작용에 의하여 생기며 편리(片理)를 나타내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6

정장석, 석영, 운모 따위의 결정(結晶)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규산이 많이 든 광석으로, 흰색을 띠며 물결무늬가 있다. 도자기나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7

낚시 끝의 안쪽에 있는, 거스러미처럼 되어 고기가 물면 빠지지 않게 만든 작은 갈고리.    우리말샘

주8

퇴적 작용으로 생긴 암석. 기계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사암ㆍ역암 따위의 쇄설암, 화학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처트와 암염 따위의 화학적 침전암, 유기적 또는 생화학적 퇴적 작용으로 생긴 석회암, 석탄을 포함하는 유기적 퇴적암으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9

수성암 또는 화성암이 땅 밑 깊은 곳에서 온도, 압력 따위의 영향이나 화학적 작용을 받아 변질하여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