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 ()

목차
관련 정보
백두산 용암
백두산 용암
과학기술
개념
지하에 녹아있던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타고 지표 위로 분출하여 녹아있는 상태 또는 마그마가 굳어져서 된 암석.
내용 요약

용암은 지하에 녹아 있던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타고 지표 위로 분출하여 녹아 있는 상태 또는 마그마가 굳어져서 된 암석이다. 용암의 온도는 보통 800℃에서 1,200℃ 정도이다. 『증보문헌비고』에 1002년(고려 목종 5년)에 탐라산(제주도 한라산)에 빨간 물이 솟아 나와 돌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빨간 물이 바로 용암이다. 제주도나 울릉도는 섬 전체가 용암으로 이루어진 지형이다. 백두산도 용암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우리나라에서 과거에 용암이 흘러간 흔적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경기도 연천이나 강원도 철원에서도 볼 수 있다.

목차
정의
지하에 녹아있던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타고 지표 위로 분출하여 녹아있는 상태 또는 마그마가 굳어져서 된 암석.
내용

용암의 온도는 화학 조성과 가스의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800℃에서 1,200℃ 정도이다. 용암의 유동성은 화학 조성이나 온도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주5의 온도가 높으며 휘발성 기체를 많이 포함하고 이산화규소(SiO₂)의 양이 적을수록 유동성이 좋다.

굳어진 용암 표면의 구조는 다양한 특징이 있어 특유의 이름을 갖고 있다. 파회회용암(pahoehoe lava)은 표면이 매끄럽고 둥그스름하며 잔물결 모양 또는 꼬인 새끼모양의 표면을 갖고 있다. 이 모양을 따서 로피용암(ropy lava)이라고도 한다. 이 용암은 두께가 20∼30㎝에서 수 미터에 이르는데, 표면적에 비해 얇은 것이 특징이다. 아아용암(aa lava)은 꺼칠꺼칠하고 모가 나 있는 요철이 심한 표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용암류의 바닥면과 윗면에는 지름 수 센티미터 정도의 클링커(clinker)라는 덩어리가 모여 있다. 두께는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로 파회회용암보다 두껍다. 학자에 따라서는 아아용암을 괴상용암(block lava)이라고도 한다.

또한 용암류가 호수나 바다와 같은 수중에서 분출하게 되면 갑자기 식으면서 판 모양이나 타원형의 베개 모양을 만드는데 이것을 베개용암(pillow lava)이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기도 연천 부근에서 한탄강으로 흘러 들어간 현무암류의 앞부분에서 만들어진 베개용암을 볼 수 있다.

한편 용암류가 흘러갈 때, 표면과 내부의 냉각 속도는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표면은 굳었지만 내부에서는 아직 유동 상태에 있을 때 용암류가 흐르면서 터널 모양의 빈 공간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해서 생긴 지형을 용암동굴(lava tunnel)이라 하는데, 제주도만장굴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생긴 용암동굴이다.

용암 동굴의 천장 부분에는 원뿔 모양의 용암종유석이 아래로 늘어져 있고, 그 아래에는 주1에서 떨어져 형성된 주2을 볼 수 있다. 용암류가 나무를 둘러싸면 나무 줄기는 타버리고 원기둥 모양의 텅 빈 공간이 생긴다. 이것을 용암수형(熔岩樹型)이라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여러 가지 모양의 용암수형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용암이 흘러가는 지역을 직접 볼 수 없다. 그러나 과거에 용암이 흘러간 흔적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경기도 연천이나 강원도 철원과 같은 내륙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이 밖에 제주도나 울릉도는 섬 전체가 용암으로 이루어진 지형이며 백두산도 용암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이것들은 모두 주3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에(약 250만년 전) 일어난 화산 활동의 결과로 생긴 것이다. 그 밖에 경상북도 의성의 금성산, 경상북도 청송의 주왕산, 광주광역시 무등산의 서석대나 입석대 등에서도 용암의 흐른 다음 식은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이것들은 주4 말기(약 1억년 전∼약 7,000만년 전)의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용암이 직접 흐른 것을 관찰한 기록으로는 『증보문헌비고』에 “고려 목종 5년(1002) 6월에 탐라산( 제주도 한라산)에 4개의 구멍이 뚫어졌고, 여기서 빨간 물이 솟아 나오다가 5일만에 그쳤다, 그 물이 모두 기와 돌이 되었다.”는 것이 있다. 여기서 빨간 물이 바로 용암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지구과학개론』(한국지구과학회 편, 교학연구사, 1998)
주석
주1

종유굴의 천장에 고드름같이 달려 있는 석회석. 지하수에 녹아 있던 석회분이 수분의 증발과 함께 다시 결정으로 되면서 생긴다. 우리말샘

주2

종유굴 안의 천장에 있는 종유석에서 떨어진 탄산 칼슘의 용액이 물과 이산화 탄소의 증발로 굳어 죽순(竹筍) 모양으로 이루어진 돌 기물. 우리말샘

주3

중생대에 이어지는 가장 새로운 지질 시대. 약 6,5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시대를 이르며, 그 말기에 인류가 나타났다. 우리말샘

주4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5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지열(地熱)로 녹아 반액체로 된 물질. 이것이 식어서 굳어져 생긴 것이 화성암이고, 지상(地上)으로 분출하여 형성된 것이 화산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