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 ()

주왕산
주왕산
자연지리
지명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에 있는 산.
이칭
이칭
석병산(石屛山), 주방산(周房山), 대돈산(大遯山)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에 있는 산.
개설

높이는 722.1m이다. 청송읍에서 동남쪽으로 13.5㎞ 지점에 있다. 산세가 아름다워 경상북도의 소금강으로 불리는데, 유서 깊은 사찰과 유적지들이 많아 1976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명칭 유래

중국 동진(東晉)의 왕족 주도(周鍍)가 당나라에서 반정을 하다가 실패하여 이곳에 와서 은둔하였다고 한다. 그 뒤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이곳에서 수도하면서, 산 이름을 주왕산으로 하면 고장이 복될 것이라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라의 왕자 김주원(金周元)이 이곳에서 공부하였다고 하여 주방산(周房山) 또는 대돈산(大遯山)이라고도 한다. 산세가 웅장하고 깎아 세운 듯한 기암절벽이 마치 병풍을 두른 것 같아서 석병산(石屛山)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연환경

선캄브리아기 이전에 석회암을 포함한 퇴적층이 형성된 후 광역변성작용으로 변성암층이 되었고, 그 후 육화(陸化)가 시작되었다. 쥐라기에 이르러 청송화강암에 의해 관입을 받아 다시 변성작용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지질은 능주층군(綾州層群)의 역암(礫岩)·응회암(凝灰岩)·유문암(流紋岩) 등의 화산암으로 되어 있다.

고도는 높지 않지만, 주변의 산세가 서남쪽으로 열려 있는 ‘ㄷ’자 모양으로 그 서남쪽에 주왕산, 동남쪽에 910고지, 북쪽에 금은광이(812m) 등의 고봉이 연해 있다. 그 중앙을 주방천(周房川)이 서남류하면서 제1폭포·제2폭포·제3폭포 등을 만들고 있다.

서식하는 동물은 궁노루·다람쥐·멧돼지·오소리·족제비 등 21종과 양서류·파충류 20종, 조류 65종, 담수어류 27종 등이다. 식물은 전나무·소나무·낙엽송·회양목 등 총 749종이 있다. 특히 천연기념물인 망개나무와 솔나리·노랑무늬붓꽃·우단꼭두서니·둥근잎꿩의비름·바위채송화 등의 희귀식물과 대왕나비·도이땅딸보메뚜기·하늘나방 등의 희귀곤충 728종이 살고 있다.

형성 및 변천

882년(헌덕왕 14)에서 825년(헌덕왕 17)까지 김헌창과 김범문이 주왕산에 은거하기 위해 축성했다는 주방산성의 흔적이 있다. 임진왜란 전후하여 피난 왔던 사람들이 내원동·너구동·갈전동·사창동 등에 마을을 형성하였는데, 1970년 화전민 이주사업과 이농현상으로 대부분 떠났다. 2007년 12월에 내원분교를 마지막으로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다.

주왕산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조선총독부 농공상부의 관할 국유림으로 관리되었고, 1924년 3월 26일자로 경북산 제249호에 의해 지방비모범림으로, 1933년에는 경상북도 도유림으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에 시행되었던 주왕산 도유림 영림사업은 주왕산이 1976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중단되었다.

현황

주왕산은 국립공원 지정 면적이 약 106㎢으로 전체 면적의 97%가 임야지이다. 주방계곡·노루용추계곡·절골 등의 계곡이 있으며, 특히 주방계곡에는 기암(旗巖)·아들바위를 비롯하여 주왕굴(周王窟)·시루봉·망월대(望月臺)·신선대(神仙臺)·연화봉(蓮花峯)·급수대(汲水臺)·학소대(鶴巢臺)·향로봉(香爐峯)·복암폭포(腹岩瀑布)·연화굴(蓮花窟)·좌암(座巖) 등이 있다.

사찰로는 대전사(大典寺)와 백련암(白蓮庵)·주왕암(周王庵) 등이 있다. 대전사는 최치원(崔致遠)·나옹화상·도선국사(道詵國師)·보조국사(普照國師)·무학대사(無學大師)·서거정(徐居正)·김종직(金宗直) 등이 수도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사명대사(泗溟大師)가 승군(僧軍)을 모아 훈련시켰던 곳으로 유명하다.

대전사에는 보광전(보물, 2008년 지정), 보광전 석가여래삼존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004년 지정) 등의 문화재가 있다. 서남쪽에는 1720년 8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준공된 주산지(注山池)가 있는데, 2013년에 주산지 일원이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의 산지』(건설교통부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2)
주왕산국립공원(juwang.knps.or.kr)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조화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