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지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지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6년 강지형의 조카 강용희(姜用熙)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철헌(宋哲憲)의 서문과 권말에 최동식(崔東植)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64수, 사(詞) 4편, 서(書) 5편, 권2에 잡저 3편, 권3에 책(策) 1편, 천장(薦狀) 8편, 설(說) 5편, 변(辨) 1편, 논(論) 2편, 권4에 서(序) 3편, 기(記) 6편, 발(跋) 2편, 잠(箴)·송(頌)·상량문 각 1편, 제문 7편, 행장·전(傳) 각 2편, 권5에 부록으로 증여시(贈與詩) 12수, 사우왕복서(師友往復書) 13편, 가장·행장·묘표·만사·제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연작인 「환수정팔경(喚睡亭八景)」·「우음오수(偶吟五首)」, 교훈적 성격의 「자경(自警)」·「시독서제아(示讀書諸兒)」를 비롯해 「탄기세(嘆飢歲)」·「낙치(落齒)」·「고문(苦蚊)」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고루 실려 있다. 사의 「억고인사(憶故人詞)」·「소충정(訴衷情)」·「호사근(好事近)」 등도 폭넓은 인용과 암시적 묘사가 특출한 작품이다.

서(書)에는 스승 송병선(宋秉璿)에게 전통 사상에 대한 자신의 수호 의지를 표명하는 한편, 기호지방의 동학교도 진압을 알린 「상연재선생(上淵齋先生)」, 교우 조병유(趙秉瑜)에게 읍지의 간행을 격려한 「여조후운파(與趙侯雲坡)」 등이 있다. 잡저는 대개 유교 경전에 대하여 친우 및 문인들과 논변한 것으로, 모두 140여 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사상에 대한 저자의 가치관과 학문적 입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책에는 천지의 운행을 인사와 결부시켜 포괄적으로 다룬 장편 「문천문(問天文)」이 있다. 천장에는 이상구(李相求)·박시양(朴時陽)·강순업(姜順業)·성철호(成轍鎬) 등을 포함한 남녀 8인의 선행을 천명한 글이 실려 있다. 이밖에 「완가설(翫稼說)」·「삼재설(三才說)」·「귀신설(鬼神說)」·「주부자계몽시변(朱夫子啓蒙詩辨)」, 당송팔대가에 대한 「팔대가문체론(八大家文體論)」, 단전호흡에 관한 「여주인옹논성성법(與主人翁論惺惺法)」 등의 글이 있다.

「수의계적발(守義契蹟跋)」에는 동학란이 일어났을 때 이희일·김병규 등과 함께 면민을 거느리고 난을 진압한 경위가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의 장수 허수익(許守益)에 대한 행장, 효자 정기인(鄭基仁)·전석로(全碩老)에 대한 전 등 자료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 많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