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법사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신라, 고승 원광법사의 영이(靈異)를 다룬 불교설화.
내용 요약

「원광법사 설화」는 신라 고승 원광법사의 영이(靈異)를 다룬 불교설화이다. 원광법사가 고승이 되기까지의 신이한 이야기와 함께 백성들에게 세속오계를 가르쳐 신라의 불교를 호국 불교로 이념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원광법사에 관한 영험담은 토착 신앙과 불교 간 갈등과 복속의 과정이 형상화되었다고 평가된다.

키워드
목차
정의
신라, 고승 원광법사의 영이(靈異)를 다룬 불교설화.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4 「원광서학(圓光西學)」에 5편의 설화가 실려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진(陳)나라 말기에 원광(圓光)이 수(隋)나라 주1에게 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절과 탑의 불타는 형상이 대장에게 나타나 구해 주었다(『당속고승전(唐續高僧傳)』 권 13).

② 원광이 주2 때 공중에 음악 소리가 가득하고 이상한 향기가 절 안에 가득 찼다. 어떤 주3이 원광의 무덤 옆에 죽은 아이의 주4를 묻었더니 벼락이 쳐서 태가 무덤 밖으로 내던져졌다(『당속고승전』 권 13).

③ 신라 왕이 병이 들어 차도가 없었는데, 원광을 청하여 참회(懺悔)의 주5를 받고 그를 신봉하였다. 원광의 머리가 금빛으로 빛나고 태양의 모양이 그를 따름을 보고 왕이 그를 더욱 신봉하였고, 오래지 않아 왕의 병이 나았다(『당속고승전』 권 13).

④ 원광이 30세에 삼기산(三岐山)에 들어가 수도할 때 이웃에 중 하나가 와서 살았는데, 밤에 신(神)이 원광에게 나타나 그 중더러 다른 곳으로 옮겨 가도록 권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그러나 중은 호귀(狐鬼) 따위의 말이라 하여 듣지 않았다. 그러자 신이 벼락을 내려 산을 허물어 중이 있던 절을 묻어 버렸다. 그후 원광은 신이 권유한 대로 중국에 가서 불교와 유교를 익히고 돌아왔다. 신에게 감사하러 삼기산에 간 원광은 신으로부터 계를 받고 주6의 약속을 맺었다. 신은 원광의 청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는데, 큰 팔뚝이 날이 밝아 오는 아침 구름을 뚫고 하늘가에 닿아 있었다. 신은 마침내 무상(無常)의 몸을 버렸는데, 원광이 보니 늙은 여우였다(『古本殊異傳』).

⑤ 신라 주7에 사는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이 원광에게 와서, 평생의 경계가 될 말을 들려주기를 청하였다. 원광은 두 사람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가르쳐 주었다. 즉,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事君以忠],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김[事親以孝], 벗을 신의로 사귐[交友以信],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臨戰無退],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 등의 내용이었다. 원광은 "산 것을 가려서 죽인다."라는 뜻을 깨치지 못하는 귀산과 추항에게 산 것을 죽일 때 주8과 봄 · 여름을 피하는 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라 알려주고, 말 · 소 · 닭 · 개와 같은 가축과 작은 물건을 죽이지 않는 것은 물건을 가리는 것이며, 이것도 쓸 만큼만 죽인다고 알려주었다. 두 사람은 원광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기로 다짐하고, 그 뒤 전쟁에 나가 모두 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삼국사기』 「열전」).

의의와 분석

불교설화에는 주11 내용을 통해 독자나 청자에게 깊은 종교적 감동을 주는 것이 있다. 불교설화는 여러 가지 신력(神力)으로 주9주10의 일을 겪게 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이는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하나의 방편이다.

원광에 관한 5편의 설화에서 앞의 4편은 불교적 영이담(靈異譚, 영험하고 신이한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영험담은 종교 설화의 본령(本領)이라 할 수 있다. 원광의 이웃에 있던 승려의 죽음이나 원광을 이끌어 주었던 신의 죽음이 모두 등장한다는 점에서 토착 신앙과 불교 간 대결을 보여 주며, 신의 최후가 죽어 가는 검은 여우이고, 원광법사는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고승이 된다는 점에서 마침내 불교 앞에 하락 · 복속되는 토착 신앙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⑤는 이른바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이야기화한 것으로, 이는 당초 보살십계(菩薩十戒)에 근거를 두고 세속에 맞도록 절충한 것이다. 이는 불교의 주12가 신라의 현실에 알맞게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으로 변용된 모습을 보여주며, 신라의 불교가 호국불교(護國佛敎)로 이념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당속고승전(唐續高僧傳)』

단행본

김운학, 『신라불교문학연구』(현암사, 1976)
이능화, 『조선불교통사』(신문관, 1918)
황패강, 『신라불교설화연구』(일지사, 1976)

인터넷 자료

강혜진, 「『삼국유사(三國遺事)』 <원광서학(圓光西學)>에 나타난 신(神)·불(佛) 관계 연구」(『Journal of Korean Culture』 50,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0)
주석
주1

규율이 잡히지 아니한 군대. 우리말샘

주2

죽음을 맞이하다. 우리말샘

주3

불가에서 승려가 아닌 일반 사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태반이나 탯줄과 같이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조직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죄를 금하고 제약하는 것. 율장(律藏)에서 설한 것으로, 소극적으로는 그른 일을 막고 나쁜 일을 멈추게 하는 힘이 되고, 적극적으로는 모든 선을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우리말샘

주6

다시 태어나는 모든 세상에서 서로 구제함.

주7

신라 때에 둔 육부(六部)의 하나. 유리왕 9년(32)에 육촌(六村)을 육부(六部)로 바꿀 때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을 고친 것으로, 성(姓)을 최씨(崔氏)로 받았으며, 지금의 경주 남천(南川) 이남, 서천(西川) 이동, 북천(北川) 이남 일대로 추측된다. 우리말샘

주8

여섯 재일로, 매월 8 · 14 · 15 · 23 · 29 · 30일이다.

주9

모든 살아 있는 무리. 우리말샘

주10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우리말샘

주11

신이하다(神異하다): 신기하고 이상하다. 우리말샘

주12

생물을 죽이지 말라는 계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홍나래(성공회대학교 학술연구교수,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