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유마사 해련탑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유마사 해련탑
화순 유마사 해련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사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해련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 불탑. 부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순 유마사 해련탑(和順 維摩寺 海蓮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2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남 화순군 남면 유마리 400번지 유마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사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해련의 사리를 봉안한 석조 불탑. 부도.
개설

199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5m. 승탑은 유마사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내용

절에서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석재가 무너져 흩어져 있던 것을 6·25전쟁 뒤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 복원하였다고 한다. 몸돌 앞면 윗부분에 ‘해련(海蓮)’, ‘지탑(之塔)’이라고 새긴 2행 4자의 글자가 있어서, 승탑의 주인공이 해련임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승탑을 ‘해련탑’이라고 부른다.

승탑은 단면이 8각인 바닥돌 위에 8각의 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8각 몸돌과 지붕돌을 차례로 올린 전형적인 8각원당형(圓堂形) 부도이다. 받침돌은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로 구성되었다. 아래받침돌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맨 아래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새긴 돌을 놓았고, 그 위의 돌에는 덮개돌 모양을 새겼으며, 맨 위의 돌에는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 8개와 귀꽃이 각 모서리마다 조각되어 있다. 아래부분에 두툼한 굄을 새긴 가운데받침돌에는 각 면에 큼직한 안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의 윗부분과 반대로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 무늬를 돋을새김한 모습인데, 연꽃잎 안에는 또 다른 꽃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몸돌의 각 모서리에는 기둥이 있고, 앞면과 뒷면에는 문비(門扉)가 조각되었다. 특히 앞면의 문비에는 귀신의 얼굴과 함께 문고리가 장식되었고, 뒷면의 문비 안에는 자물쇠 밑의 문고리만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널찍한 편인데, 밑면에 낮은 3단의 받침이 있고, 평박(平薄)한 낙수면에는 내림마루인 우동(隅棟)이 각 모서리마다 두툼하게 표현되었다. 전각(轉角)은 대체로 수평이며, 여덟 모서리에는 귀꽃이 장식되었지만 넓고 큰 지붕돌에 비해서 작아 보인다. 상륜부의 석재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시대 이래 전형적인 승탑 양식으로 전승된 8각원당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안상과 연꽃 무늬가 잘 표현되었으며, 문비를 비롯하여 귀신의 얼굴, 문고리 등의 장식도 눈에 띈다. 각 세부의 조각과 조성 양식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부도』(정영호, 대원사, 2003)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엄기표, 학연문화사, 2003)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광주·전남의 전통사찰』Ⅱ 전통사찰총서 7(사찰문화연구원 편, 사찰문화연구원, 1996)
『통일신라석조미술연구』(박경식, 학연문화사, 1994)
『조선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