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황 ()

봉주유고 / 유황
봉주유고 / 유황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병조참의, 부승지, 공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전숙(典叔)
봉주(鳳洲)
시호
충간(忠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9년(선조 32)
사망 연도
1655년(효종 6)
본관
기계(杞溪,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
주요 관직
병조참의|부승지|전라도관찰사|공조참의
관련 사건
병자호란
정의
조선 후기에, 병조참의, 부승지, 공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전숙(典叔), 호는 봉주(鳳洲). 군수 유영(兪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선무랑 유대의(兪大儀)이다. 아버지는 관찰사 유성증(兪省曾)이며, 어머니는 참봉 구준(具濬)의 딸이다. 이정구(李廷龜)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4년(인조 2)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입학했고, 금오랑(金吾郎)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633년 상운찰방(祥雲察訪)으로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괴원(槐院: 승문원의 다른 이름)에 배속되어 검열·대교·봉교를 거쳐 전적에 올랐다.

1636년 정언으로 재직 중 후금에서 청으로 국호를 고친 청 태조의 건국 축하에 참석했던 나덕헌(羅德憲) 등이 돌아오자, 이들을 참(斬)해 대의를 밝힐 것과 청의 국서(國書)를 받지 말 것, 팔도에 사신을 보내어 전쟁에 대비할 것 등 반청주전론(反淸主戰論)을 주장하였다.

이어 다시 전적으로 체직되었다가 병조좌랑을 거쳐 지평에 보임되었다. 그 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비·빈과 봉림대군을 강화에 호종했고, 곧 호서순검사(湖西巡檢使)가 되어 전라도 지역에서 군사 모집과 군량 조달을 위해 활약하였다.

난이 끝난 뒤에는 배청파(排淸派)로 지목되어 단양에 유배되었다가 풀려 나와 향리(鄕里)에 은거했으며, 1640년 다시 예조정랑에 기용되었다. 2년 뒤 교리로 재임 중 전국에 전염병이 만연해 많은 백성들이 죽자, 지방의 신(神)에게 기도하기 위해 영남 지방을 다녀와서 시사육조(時事六條)를 임금에게 올려 받아들여졌다.

그 뒤 헌납·이조참의 겸 시강원문학을 거쳐 병조참의·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648년 전라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승지로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공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철저한 배청숭명파 노선을 걸었고, 호란이 끝난 뒤에도 참상을 잊지 말 것을 역설하였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송자대전(宋子大全)』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