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대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이인로의 고시 · 율시 · 고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이인로의 고시 · 율시 · 고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개설

이인로 자신이 평생에 지은 저서를 모아 손수 편찬한 것이라고 하나, 지금은 일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의 규모는 『고려사』의 이인로 열전에 의하면 원집 20권, 후집 4권의 방대한 저술이었다고 한다.

내용 및 평가

그 내용은 아들 세황(世黃)의 「파한집발(破閑集跋)」에 의하면, 고부(古賦) 5수, 고시와 율시 1,500여 수였다고 전한다.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권보(權溥)의 묘지명에 “은대시집 20권을 주(註)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권보에 의하여 주석작업이 진행된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목은문고(牧隱文稿)』의 「증김경숙비서시서(贈金敬叔秘書詩序)」라는 글에 “공장(工匠)의 졸렬함과 권질(卷秩)의 무거움은 은대집·상국집(相國集)에서 볼 수 있다.”고 한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과 함께 이 문집은 방대한 저작의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에서는 『쌍명재집(雙明齋集)』 3권, 『파한집』 3권이 세상에 행하여진다고 하여, 조선 초기까지만 하여도 이 책이 남아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나, 그 이후에는 그것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기로회(耆老會)에서 지은 잡저만을 묶은 『쌍명재집』, 그리고 당시의 시화·일사인 『파한집』과 함께 이인로의 대표적인 저작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파한집(破閑集)』
『익재집(益齋集)』
『목은문고(牧隱文稿)』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