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대편고 ()

목차
관련 정보
은대편고
은대편고
근대사
문헌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소관 사무에 대한 사례 · 규식(規式) 등을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소관 사무에 대한 사례 · 규식(規式) 등을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
내용

편자는 미상이다. 조선 전 시기에 걸쳐 있으나 특히 영조에서 순조대의 것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체재는 각 방고(房攷) 11권 8책과 통고(通攷) 2권 2책으로 모두 13권 10책이다. 제1책 첫머리에 이·호·예·병·형·공방고의 목록이 있고, 마지막 2책 통고에는 각 책마다 권수(卷首)에 목록이 있다.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1 이방고 : 속사(屬司)·촬요(撮要)·정관(政官)·정품(政稟)·친림도정(親臨都政)·전망(前望)·해유(解由)·정사(呈辭)·소비(疏批)·본원포폄(本院褒貶)·전최(殿最)·세초(歲抄)·전지(傳旨)·회계(回啓)·성기(省記)·적간(摘奸)·과삼일(過三日)·좌부좌(坐不坐)·출조보(出朝報).

권2 이방고 : 대청(代聽) 왕세자 상소 등 26항목의 기사.

권3 호방고 : 속사·촬요·새서(璽書)·구임각사(久任各司).

권4∼권7 예방고 : 속사·촬요·취품(取稟)·시사(視事)·탈사(頉事)·동가(動駕)·시신(侍臣)·상참(常參)·윤대(輪對)·문안·경연·일기·실록·재이(災異)·일일식(日日食)·망궐례(望闕禮)·황력(皇曆)·사신·교린·종묘배향·문묘배향·조신시호·차자(箚子)·선마(宣麻)·국휼(國恤)·거애(擧哀)·정조시(停朝市)·입학·책례(冊禮)·관례(冠禮)·가례 등 86항목의 기사.

권8·권9 병방고 : 속사·촬요·동가·능행(陵幸)·전좌(殿座)·노부의아(鹵簿儀衙)·조참(朝參)·차대(次對)·기밀·표신(標信)·명소(命召)·밀부(密符)·발병부(發兵符)·마패·통부(通符)·대열(大閱)·대열후호궤(大閱後犒饋)·습조(習操)·융기점고(戎器點考)·궐문 등 69항목의 기사.

권10 형방고 : 속사·촬요·대소(臺疏)·대간·피혐(避嫌)·처치(處置)·하유(下諭)·친국(親鞠)·정국(庭鞠)·삼성추국(三省推鞠)·소결(疏決)·금오(金吾)·추조(秋曹)·함사(緘辭)·반사(頒赦)·전지 등.

권11 공방고 : 속사·촬요·선유·장소(章疏).

권12·권13 통고 : 월령(月令)·원중사적(院中事蹟)·원규(院規)·식가식(式暇式)·복제식·승지·주서(注書)·통행사례(通行事例)·장계 등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원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