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9.6m. 석탑은 세부 석재가 거의 온전한 편으로, 전탑(塼塔)의 축조 방법을 따르면서 목조 건물의 양식을 일부에 반영하였다. 우리나라 석탑의 양식 발달을 살피는데 귀중한 사례로 손꼽힌다.
지붕돌의 윗면이 층단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전탑의 양식이어서, 이 석탑을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고 부른다. 단층의 받침돌은 14장의 길고 큰 돌로 구성된 바닥돌 위에 자리하고 있다. 24장의 널돌로 면석을 구성하였는데, 면석의 각 면에는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있고, 그 사이에 2개의 가운데 기둥이 서 있다. 각각의 기둥은 면석은 물론 다른 기둥과도 서로 다른 돌로 만들어, 건축 기단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덮개돌은 8장의 널돌로 결구(結構)하여 덮었는데,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표시되지 않았고, 윗면에는 1단의 굄돌을 따로 놓아 몸돌을 받치게 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다른 양식으로 구성하였다. 1층 몸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면석을 각각 다른 돌로 세웠는데, 모서리 기둥은 고식(古式)을 따라 가운데 부분이 약간 볼록한 배흘림 모습을 띠고 있고, 기둥 맨 윗면의 주두(柱頭)에는 지붕돌의 무게를 받는 좌두(坐枓)와 함께 그 위에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지는 액방(額枋)과 형방(桁枋)이 2중으로 조각되어 목조 건물과 같은 모습을 갖추고 있다. 1층 몸돌의 남쪽면에는 감실(龕室)이 설치되었다. 2층 이상의 몸돌에는 각 층의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 외에 1개의 가운데 기둥을 세워 놓아 주목된다. 지붕돌은 윗면인 낙수면과 밑면의 받침이 따로 구성되었다.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이 있고, 낙수면은 6단의 층단을 이루었다. 추녀는 전각(轉角)에 이르러 약간의 반전을 보이고 있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에는 현재 노반(露盤)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 석탑은 1층 몸돌의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위가 좁고 아래는 넓은 모습이고, 기둥 머리인 주두에 좌두가 조각되었으며, 전탑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추녀 전각의 반전 등이 표현되어 있어, 목조 건물의 양식을 제법 따랐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석탑은 이전에 목탑과 전탑이 존재하였음을 추정하는 유력한 근거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