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요당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중형의 시 · 만사 · 제문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중형의 시 · 만사 · 제문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1세손 규형(圭衡)이 편집, 간행하였다.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정종호(鄭宗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규형의 후지(後識)와 후손 규범(圭範)·송준필(宋浚弼)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9수, 제문 3편, 권2에 부록으로 사우서독(師友書牘) 3편, 제현증유시(諸賢贈遺詩) 5수, 만사 27수, 제문 8편, 유사·행장·묘지명·묘갈명·고유문·기(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이요당(二樂堂)」은 자신의 정신적 가치체계를 나타낸 것이며, 「백매원동제공술회(百梅園同諸公述懷)」는 최항경(崔恒慶)·여찬(呂燦)·김축(金軸) 등이 지은 시를 모두 수록한 것이다.

그 밖에도 교훈성이 짙은 「자경시제자팔절(自警示諸子八絶)」과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지은 「문성하맹이절(聞城下盟二絶)」, 스승 정구와 이천봉(李天封)·이윤우(李潤雨) 등을 대상으로 한 만시가 주종을 이룬다.

부록에는 정구와 장인 장봉한(張鳳翰)·장이유(張以兪) 등이 보낸 편지와 증유시, 박종서(朴宗緖)·배상룡(裵尙龍)·이지형(李之馨)·홍석무(洪錫武) 등의 만사, 아들 두광(杜光)이 쓴 유사, 정은석(鄭恩錫)이 쓴 행장, 최린(崔轔)·이원정(李元禎) 등이 쓴 묘지명과 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