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품군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주현군(州縣軍)에 소속된 노동부대.
이칭
이칭
외방역군(外方役軍), 추역군(秋役軍)
목차
정의
고려시대 주현군(州縣軍)에 소속된 노동부대.
내용

외방역군(外方役軍)·추역군(秋役軍)이라고도 한다. 설립연대는 정확하지 않고, 1031년의 「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에 처음 보인다.

다만 1010년(현종 1)에 세운 「개심사오층석탑형지기」에 광군(光軍)이 확인되고 있어 광군이 일품군으로 개편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설립시기는 대략 1012년에서 1018년경으로 볼 수 있다.

일품군은 지방군인 주현군의 하나였다. 주현군은 보승군(保勝軍)·정용군(精勇軍)·일품군·이품군·삼품군으로 구성되었는데, 보승군·정용군은 전투부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일품군은 이품군·삼품군과 함께 동원 목적이 공역(工役)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품군의 동원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주기로 이루어져 교체되었다. 초기에는 2번(番)으로 나누어 가을에 교체했으며, 그 기간은 1년으로 하였다가 1191년(명종 21)부터 3번교대제로 하였다. 일품군의 지휘는 향리가 담당했는데, 이는 일품군이 그 지방농민들로 구성되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일품군은 1235년(고종 22) 이후 주현군이 별초군(別抄軍)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소멸되었다. 특히, 같은 주현군 소속 공역군인 이품군·삼품군은 주현에 의해서 파악, 통제되었으나, 일품군은 중앙정부의 직접 파악과 통제를 받았던 서로 별개의 존재였다.

일품군은 신라 말 고려 초까지 지방성주의 군대에서부터 광군을 거쳐 별초군까지 전해 내려오는 오랜 전통의 소산이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고려병제사연구(高麗兵制史硏究)』(이기백, 일조각, 1968)
「무신정권시대(武臣政權時代)의 군제(軍制)」(김당택,『고려군제사(高麗軍制史)』, 육군본부, 1983)
집필자
이희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