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법수 ()

목차
관련 정보
장승법수
장승법수
불교
문헌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승려 무학자초가 원나라 가수의 「장승법수」를 저본으로 1389년에 중간한 불교서. 사전 · 사찰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승려 무학자초가 원나라 가수의 「장승법수」를 저본으로 1389년에 중간한 불교서. 사전 · 사찰본.
내용

2책. 목판본. 리움미술관 소장본(보물, 1981년 지정)과 조병순 소장본(보물, 1981년 지정). 이 판본은 원나라 승려 가수(可遂)가 엮은 책에 의하여 고려말 조선초의 고승인 무학대사(無學大師)자초(自超)가 1389년(공양왕 1)에 중간한 것이다. 몇 종의 전래본이 있으나 무학대사가 간행한 경위를 적은 이색(李穡)의 발문이 붙어 있는 것은 보기 드물다.

1981년 보물로 지정된 리움미술관 소장본에는 그 발문이 붙어 있으나, 같은 해 보물로 지정된 조병순(趙炳舜) 소장본에는 결락되어 있다. 이 두 판본은 새긴 글자에 다소의 완결(刓缺)이 나타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그 판각연도보다 훨씬 뒤에 인출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그 중 조병순 소장본이 더 뒤에 찍힌 것으로 보인다.

불가의 법수는 이것 이외에 당나라 현수(賢首)가 엮은 구집(舊集)이 전래되지 않아 명나라 행심(行深)이 다시 엮어 1427년에 간행한 명판본(明板本)을 입수, 우리나라 경민(冏敏)이 1500년(연산군 6) 경상도 합천봉서사(鳳栖寺)에서 개판한 『현수제승법수(賢首諸乘法數)』와 그 번각 계통의 책이 전해지고 있다.

이 두 책을 비교하여 보면, 『제승법수』의 수록범위가 훨씬 포괄적이고 편집체재도 숫자의 차례로 체계 있게 잘 엮어져 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이 『장승법수』는 그 뒤 간행되지 못한 듯 그 전본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