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번방지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 후기 신경이 명나라 군사를 중심으로 임진왜란의 여러 전황과 외교적 관계를 기술한 야사서.
이칭
이칭
재조번방록(再造藩邦錄), 화음기분(華陰寄憤)
문헌/고서
간행 시기
1693년
저자
신경
권책수
4권 4책[목활자본]|6권 6책[필사본]
권수제
재조번방지
판본
목활자본|필사본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국립중앙도서관|일본 동양문고 외
내용 요약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는 조선 후기, 신경(申炅)이 명나라 군사를 중심으로 임진왜란의 여러 전황과 외교적 관계를 기술한 야사서(野史書)이다. 『재조번방지』는 크게 목활자본과 필사본으로 나눌 수 있다. 필사본은 다시 한문본과 한글본으로 나눌 수 있다. 신경이 1649년(인조 27) 임진왜란 중 명의 재조지은(再造之恩)과 선조의 숭명(崇明) 의지를 전하기 위해 이 책을 기술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신경이 명나라 군사를 중심으로 임진왜란의 여러 전황과 외교적 관계를 기술한 야사서.
저자 및 편자

저자는 화은(華隱) 신경이다. 신경은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손자다.

서지사항

『재조번방지』는 크게 목활자본과 필사본으로 나눌 수 있다. 필사본은 다시 한문본과 한글본으로 나눌 수 있다. 목활자본은 영천군(榮川郡: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1693년(숙종 19) 4권 4책으로 간행되었다.

필사본은 6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독의 책도 있지만 주1, 『대동야승(大東野乘)』 등 야사(野史) 총서에 수록되어 남아 있다. 한글 주2 2종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있으며, 『재조번방록(再造藩邦錄)』[장서각], 『화음기분(華陰寄憤)』[일본 동양문고 · 일본 와세다대학교 도서관 · 연세대학교 중앙 도서관] 등의 이칭을 가진 책도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신경이 1649년(인조 27) 겨울, 큰딸이 산후병으로 고생할 때의 우울한 분위기를 전환시키기 위해 할아버지 신흠의 『정왜지(征倭志)』를 중심으로 선인들의 글을 모아 임진왜란 중 명의 주3'과 선조의 주4' 의지를 전하기 위해 기록하였다. 당시 조선이 청나라에 굴복한 데 따른 울분도 작용하였다.

1659년(효종 10) 3월 아들인 신이화(申以華)에 의해 교열되었다. 목활자본은 영천군에서 1693년(숙종 19) 4권 4책으로 간행되었다. 처음 제목을 후에 ‘화양기분지(華陽寄憤志)’로 바꾸려 하였음은 동양문고본에 있는 1773년(영조 49) 유산자(酉山子) 후서에서 볼 수 있다. 동양문고본은 활자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부록으로 주5, 주6 등을 덧붙여 준비한 완성본에 해당한다.

구성과 내용

영주본은 32권의 인용서목(引用書目)을 제시한 후, 권1은 1577년(선조 10)에서 1592년 5월, 권2는 1592년(선조 25) 6월에서 1593년(선조 26) 9월, 권3은 1593년 10월에서 1597년(선조 30) 8월, 권4는 1597년 9월에서 1600년(선조 33) 명의 주7까지 대상으로 하였다.

필사본은 영주본 3권 일부와 4권을 4, 5, 6 세 권으로 나누어 편차하였다. 1권은 임진왜란 전의 동향, 2권은 의병의 거의와 명군의 내원, 3권은 서울 수복과 명과 일본과의 강화 교섭, 권4는 정유재란, '정응태(丁應泰)의 무고(誣告) 주8, 변무(辨誣)와 명의 철군 등을 다루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신경이 임진왜란 때 명군의 지원을 '재조(再造)'라는 관점에서 보면서 임진왜란 때 명군의 동향과 외교적 관계를 정리한 야사서이다. 임진왜란 때 명군의 동향과 지원 내력을 알 수 있는 국내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화음기분(華陰寄憤)』
『광사(廣史)』

단행본

『(국역) 대동야승』(민족문화추진회, 1971)

논문

김광년,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의 작자(作者)와 판본(板本) 연구(硏究)」(『 한문고전연구』 41, 한국한문고전학회, 2020)
김경수, 「『재조번방지』의 사학사적 고찰」(『 이순신연구논총』 18,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김용국, 「『재조번방지』 해제(解題)」(『(국역) 대동야승』, 민족문화추진회, 1971)
주석
주1

조선시대의 학자 김려(金鑢)가 편찬한 야사(野史) 전집

주2

다른 나라 글, 특히 한문으로 된 내용을 한글로 풀어서 쓴 책    우리말샘

주3

거의 망하게 된 것을 구원하여 도와준 은혜    우리말샘

주4

중국 명나라의 문물과 제도를 높이 우러르며 소중하게 여김

주5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사적(事跡)    우리말샘

주6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우리말샘

주7

주둔하였던 군대를 철수함.    우리말샘

주8

1598년(선조 31) 명나라 사신 정응태(丁應泰)가 정유재란(丁酉再亂) 중에 명나라 황제에게 글을 올렸다. 명나라가 차지하고 있는 요동 땅은 옛 고구려 땅이어서 조선이 다시 회복해야 한다면서, 조선이 왜병을 불러들여 함께 명나라를 치려고 한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그래서 본보기로 조선의 국왕과 신하를 문책해야 하고 조선을 토벌해 제거해야 한다고 극언한 사건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