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 ()

목차
관련 정보
사회구조
제도
전기 기계와 전기 도구를 설치, 조정, 수리하고 부품을 조립하여 전기 장비를 제작하는 근로자.
내용 요약

전기공은 전기 기계와 전기 도구를 설치, 조정, 수리하고 부품을 조립하여 전기 장비를 제작하는 근로자이다. 전기공은 전기 제품 조립공과 전기 설비공으로 나뉘는데 전기 제품 조립공은 부품으로 전기 기계류나 가정용 전기 기구 등을 조립하는 사람이다. 과거 상당수의 여성들이 종사했던 직업이었으나 자동화와 로봇의 도입으로 최근에는 많이 사라졌다. 전기 설비공은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각종 전기 기계와 전기 도구를 설치, 조정, 조립 및 수리하는 사람이다.

목차
정의
전기 기계와 전기 도구를 설치, 조정, 수리하고 부품을 조립하여 전기 장비를 제작하는 근로자.
내용

전기공은 크게 전기 제품 조립공과 전기 설비공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제품 조립공은 부품으로 전기 기계류나 가정용 전기 기구, 라디오, 텔레비전 주10 등을 조립하는 직업을 말한다. 과거 상당수의 여성들이 종사했던 직업이었으나 자동화와 로봇의 도입으로 최근에는 많이 사라졌다. 이들은 스크루드라이버, 플라이어 및 기타 공구로 부품을 고정시키거나 납땜을 통해 배선을 조이고 연결한다.

전기 설비공은 공장, 작업장이나 사용처에서 각종 전기 기계와 전기 도구를 설치, 조정, 조립 및 수리하는 직업이다. 이들은 전기 계측 제어 설비 및 부대시설을 점검하고 시험, 조정, 분해, 조립 등의 보수 업무를 수행한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복구 작업을 수행하며 보수용 도면, 지침서 및 각종 대장을 정리하고 보관한다.

최근에는 통신 주11, 전기 수리원, 주13 주12, 주14 전공 등이 전기공에 해당한다.

통신 내선공은 통신 설비를 빌딩이나 공장, 주택 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을 옥내에 설치, 배선, 보수하는 직종이다. 건축 설계 도면과 주15를 읽고 구조물 내부의 배관 상태, 통신 설비의 설치 위치 등을 파악한다. 배관 루트를 따라 전선 또는 케이블을 포설한다. 옥내 인입 케이블과 옥내 배선 사이에 단자함을 설치하고 심선을 대조하여 연결한다. 전화, 교환기, 반송 기기, 단말기 등 통신 설비를 설치할 곳이나 이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플러그용 콘센트를 설치하고 포설된 선에 연결한다.

전기 수리원은 사업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공작물, 전기 시설, 전기 장비 등의 원활한 가동 및 유지를 위하여 수배전 설비, 조명 설비, 생산 설비 등을 유지, 보수, 관리하는 직종이다.

배전 전공은 배전 선로의 콘크리트 전신주 등 지지물 설치, 주2 부설, 전선 주16, 변압기, 개폐기 등의 배전 기기 설치와 유지 관리에 따른 시공을 하는 직종이다. 도면에 따라 현장의 설치 지점에 지하 매설물과 같은 방해물의 여부를 확인한 뒤 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한다. 전신주를 운반하여 수직으로 설치하고 근가, 주17 등을 설치한다. 그리고 전신주에 주3, 주4 등을 장치하고 전선을 가설한 뒤, 변압기, 개폐기, 주18 등 배전 기기를 설치한다. 지중(地中) 전선로 공사는 매설물에 유의하여 주5를 굴착한 뒤 주6를 부설하고, 맨홀 및 주8, 지중 변압기, 개폐기 등을 설치하거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등의 작업을 한다.

송전 전공은 발전소에서 변전소 또는 변전소 간의 전력 수송을 위하여 철탑 또는 지하 전력구를 설치하며 애자 등을 장치하고 전력선을 부설하는 직종이다. 송전선로 건설 계획에 따른 철탑 설치를 위해 굴착하고 기초 공사를 한다. 설계 도면에 맞게 철탑을 조립하여 세우고, 철탑에 애자 장치를 단 뒤 전선을 가설한다. 지중 주9의 경우 지하 수십 미터 깊이에 전력구를 건설하고 케이블을 포설한다.

과거에 전기공은 주로 공업 고등학교에서 배출되었으나 최근에는 전기공의 학력이 높아져 전문대학 이상의 졸업자들도 상당히 많다. 관련 자격 제도로는 전기 주19와 전기 산업 주20, 통신 선로 주21 등이 있다. 전기 기사는 1974년 전기 기사 1급으로 신설된 후 1999년에 명칭이 전기 기사로 변경되었으며, 시험 시행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사내 직업 훈련원 과정이나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 직업의 업무에 대한 훈련을 받을 수 있다. 전기 산업 기사는 1974년 전기 기사 2급으로 신설된 후 1999년에 전기 산업 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시험 시행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전기공은 주로 전기 기기 제조업체나 발전기 · 전동기 수리 센터, 전기 기기류 대리점 및 건설 업종의 각종 전기 설비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또 이들은 수력 · 화력 · 원자력 발전소, 제강 · 제철 및 주22 공장, 석유화학 공장, 선박 제조업체 등에서 첨단 기기를 조작, 운전, 점검, 시험하는 일에도 종사한다.

전기공의 작업 조건은 장소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있지만, 최근에는 자동 제어 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되어 운영되는 단계로 발전함에 따라 매우 청결한 경우가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품 조립공의 경우에는 제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기계 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있을 수 있으나, 제품의 품질을 위해서 항온을 유지하므로 쾌적한 분위기에서 근무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중진 외, 『한국직업사전(통합본 제5판)』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20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기공/집필자: 곽해선)』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한국전기통신 100년사』(체신부,1985)
『직업의 세계』(노동부,1986)
주석
주1

펴서 베풂. 우리말샘

주2

지하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지중에 설치한 관형 통로. 콘크리트관, 철관, 도관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전봇대에 가로로 대어서 전선을 매는 쇠막대기. 우리말샘

주4

전선을 철탑 또는 전봇대의 어깨쇠에 고정하고 절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지물. 사기, 유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5

송전선 따위가 지나가는 땅. 우리말샘

주6

물이나 가스 따위의 유체가 흐르는 관. 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다회선의 케이블 및 부속재를 수용하고 케이블의 접속 공간을 겸하는 기능을 가진 설비. 개착식 전력구, 터널식 전력구, 공동구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다회선의 케이블 및 부속재를 수용하고 케이블의 접속 공간을 겸하는 기능을 가진 설비. 개착식 전력구, 터널식 전력구, 공동구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지하에 포설한 전력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력을 수송하는 일. 우리말샘

주10

방송된 영상 전파를 받아서 화상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우리말샘

주11

통신 설비를 옥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을 설치, 배선, 보수를 하는 공사. 우리말샘

주12

발전, 변전, 전기 장치의 설치 및 수리 따위의 작업에 종사하는 직공. 우리말샘

주13

발전소에서 보내온 전력을 수용자에게 분배하거나 공급하는 일. 우리말샘

주14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변전소로 보내는 일. 우리말샘

주15

전기나 전자 장치의 각 부품의 배선과 수량 따위를 기호로 나타낸 그림. 우리말샘

주16

전깃줄이나 전화선, 교량 따위를 공중에 건너질러 설치함. 우리말샘

주17

철도나 수로, 통신 선로 따위에서 본선에서 곁가지로 갈려 나간 선. 우리말샘

주18

전기 회로에 일어나는 이상 고전압을 안전하게 방전하여 회로 속의 기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장치. 우리말샘

주19

전기 기기와 전기 설비 따위를 설계ㆍ제작ㆍ시공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 또는 그런 자격. 우리말샘

주20

전기 시설의 안전 관리 및 전기 설비의 설계와 점검, 유지와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 또는 그런 자격. 우리말샘

주21

정보 통신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전기 통신 설비나 유선 통신 기계, 전송 회로를 설치ㆍ관리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 또는 그런 자격. 우리말샘

주22

회전하는 압연기의 롤 사이에 가열한 쇠붙이를 넣어 막대기 모양이나 판 모양으로 만드는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