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복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인물이 점을 쳐서 운명을 예언하고, 그 예언을 실행하거나 극복하는 과정과 결과의 내용을 다룬 민담.
이칭
이칭
복술설화(卜術說話), 명복설화(名卜說話), 점복담
내용 요약

「점복설화」는 인물이 점을 쳐서 운명을 예언하고 그 예언을 실행하거나 극복하는 과정과 결과의 내용을 다룬 민담이다. 민담의 하위 유형의 하나로, 예언담에 속하며 「복술설화」 · 「명복설화」라고도 부른다. 설화의 내용에 따라서 명복·엉터리 점복·점술 경쟁·천냥점·파자점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천냥점의 경우, 아르네-톰슨의 설화 유형 「하인의 좋은 충고」(AT 910B)와 유사하며, 천냥점 설화의 주요 모티프가 고전소설 『정수경전』에 수용되어 있다.

목차
정의
인물이 점을 쳐서 운명을 예언하고, 그 예언을 실행하거나 극복하는 과정과 결과의 내용을 다룬 민담.
내용

「점복설화」는 예언담에 속하며 「복술설화」 · 「명복설화」라고도 부른다. ‘ 점복’은 ‘점치는 일’, ‘복술’은 ‘점치는 방법이나 기술’, ‘명복’은 ‘이름난 점쟁이’를 의미한다. 「점복설화」에는 명복 · 엉터리 점복 · 점술 경쟁 · 천냥점(千兩占) · 주1 등이 있다. 「점복설화」의 내용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명복: 「홍계관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점치는 사람이 자신의 운명을 점치고 죽을 운수를 피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한다는 내용이다.

임금이 용한 점쟁이를 불러 용상(龍牀) 아래에 있게 한 다음에 용상 앞을 지나간 쥐의 수를 알아맞히라고 했다. 점쟁이가 쥐의 뱃속에 든 새끼까지 계산하여 쥐의 수를 말했으나, 임금은 자신이 보았던 쥐의 수와 맞지 않는다고 하며 점쟁이를 사형시켜라고 명령했다. 임금이 뒤늦게 쥐의 배를 갈라서 확인했더니 점쟁이의 말이 맞았다.

설화는 복술가(卜術家)의 신비한 능력, 성급한 왕의 횡포와 함께, 운명을 예견했지만 피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준다.

② 엉터리 점복: 「이개구리의 점복」이 이에 해당한다. 이 설화는 전국적인 전승(傳承) 분포를 보인다. 이름이 개구리인 사람이 길을 가다가 우연한 일로 유명한 점쟁이가 된다는 내용이다.

이름이 개구리라는 사람이 소를 도둑맞은 사람에게 소를 찾아 주고 떠나던 중에, 외딴곳에서 도둑을 만난다. 도둑은 손에 개구리를 잡아 싸쥐고, 자신의 손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맞히라고 개구리에게 요구한다. 개구리는 자신이 죽는다는 뜻으로 ‘이 개구리가 죽는구나!’라고 탄식하였는데, 도둑은 그가 개구리임을 알아맞힌 것으로 알고 주5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점복설화」와는 달리 점복에 혹(惑)하는 인물을 주6한다는 주9인 의미가 있다. 이 밖에도 명복과 주7의 대결담이나, 집 앞에 불을 놓아 자식이 바위에 치여 죽을 것을 방지하였다는 이야기 등이 있다.

③ 점술 경쟁: 「곽박과 이순풍」 · 「곽박과 주역이」 등이 있다. 주8 곽박이 젊은 세대 제자와 며느리와 점술 대결에서 패배한다. 「곽박과 이순풍」은 주10 간 곽박과 이순풍이 여행을 하면서 점술 경쟁을 했다. 두 사람은 소들이 누워 있는 들판을 지나다가 어떤 소가 먼저 일어날 것인가를 점쳤는데, 곽박은 누런 소, 이순풍은 검은 소라고 말했다. 결과는 검은 소였는데, 제자에게 패한 곽박이 이순풍에게 주12를 묻자, 점괘는 불로 나왔는데 불이 나려면 연기부터 나야 하기에 검은 소가 답이라고 풀이했다. 다음은 저녁으로 나올 음식 맞히기를 했는데 역시 제자 이순풍이 맞혔다. 곽박은 뱀의 괘를 잘못 해석해서 틀렸다.

「곽박과 주역이」에서는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점술 경쟁으로 며느리인 주역이 시아버지 곽박의 점술을 꾀를 내어 피하고, 며느리를 죽이려던 곽박이 오히려 죽게 된다.

이들 설화는 모두 중국의 실제 인물과 결부된 「점복설화」로, 서적 『주역(周易)』의 명칭이 복술가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어 흥미롭다.

④ 천냥점: 「세 번 죽을 고비」가 이에 해당한다. 가난한 사람이 점쟁이에게 1,000냥을 내고 예언을 산 사람의 이야기이다.

어떤 사람이 집에 부인을 남겨둔 채 고기잡이를 떠났다가 돌아오는 길에 점을 치러 갔다. 점쟁이가 주13로 1,000냥을 요구하자, 이 사람이 3,000냥을 주고 3개의 점괘를 받았다. 이 사람은 점쟁이가 준 점괘 3장을 가지고 돌아오는 길에, 두 번은 점괘에서 시키는 대로 따라하여 죽을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이 사람이 마지막에는 살인 누명을 썼는데, 이 사람은 마지막 점괘로 진범을 찾아 살인 누명을 벗었다.

이 설화는 아르네-톰슨(Aarne-Thompson) 설화 유형 「하인의 좋은 충고」(AT 910B)에 해당하며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는 유형이다. 그리고 이 설화의 주14 모티프 · 살인 누명 모티프 · 점괘 풀이로 진범 이름을 밝히는 주15 등이 주29 『정수경전』에 수용되어 있다.

⑤ 파자점: 「암행어사와 거지」 · 「이성계와 거지」 · 「수양대군과 김종서」는 이에 해당한다. 파자점을 하는 복술가가 똑같은 글자를 가지고도 짚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한다는 이야기이다.

「암행어사와 거지」에서는 주17가 ‘복(卜)’ 자를 짚고 점을 치자, 점쟁이는 허리에 주18를 찼으니, 암행어사가 분명하다며 주19하였다. 이것을 지켜보던 거지가 옷을 바꾸어 입고 '복(卜)' 자를 짚고 점을 치니, 점쟁이는 허리에 주20을 찬 거지라고 하였다.

「이성계와 거지」에서는 이성계(李成桂)가 ‘물을 문(問)’ 자를 짚고 점을 쳤는데, 점쟁이는 이 글자가 좌로도 '임금 군(君)', 우로도 '임금 군(君)'이라고 하며 이성계가 틀림없이 왕이 되겠다고 하였다. 거지가 같은 글자를 짚고 점을 쳤는데, 주22에 입을 달았으니 빌어먹겠다고 하였다.

「수양대군과 김종서」에서는 수양대군이 ‘전(田)’ 자를 짚으니, 점쟁이는 전후좌우로 ‘왕(王)’이니 군왕이 되겠다고 하였고, 김종서(金宗瑞)가 같은 글자를 짚으니 ‘갑자무족(甲字無足) 용병무일(用兵無日), 십자사위(十字四圍) 주23’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화는 점복의 주24주25으로 주26하지 않고, 상황에 따른 주27의 지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임석재, 「한국구전설화」(『임석재전집』 1∼5, 평민사, 1988∼1989)

단행본

조희웅, 『한국설화(韓國說話)의 유형적연구(類型的硏究)』(한국연구원, 1983)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국립민속박물관, 2013)
주석
주1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길흉을 점침. 또는 그런 점. 우리말샘

주2

임금이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볼 때 앉던 평상. 우리말샘

주3

점을 치는 사람. 우리말샘

주4

문화, 풍속, 제도 따위를 이어받아 계승함. 또는 그것을 물려주어 잇게 함. 우리말샘

주5

진심으로 크게 감동함. 우리말샘

주6

문학 작품 따위에서, 현실의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 따위를 빗대어 비웃으면서 씀. 우리말샘

주7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를 잘 본다고 이름난 사람. 우리말샘

주8

재주가 뛰어나고 특이하다. 우리말샘

주9

어떤 주장이나 이론이 겉보기에는 모순되는 것 같으나 그 속에 중요한 진리가 함축되어 있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0

스승과 제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점을 쳐서 나오는 괘. 이 괘를 풀이하여 길흉을 판단한다. 우리말샘

주12

점을 쳐서 나오는 괘. 이 괘를 풀이하여 길흉을 판단한다. 우리말샘

주13

점을 쳐 준 값으로 점쟁이에게 주는 돈. 우리말샘

주14

귀한 집 딸이 둘 이상의 남편을 섬겨야 될 사주팔자인 경우에, 밤에 외간 남자를 보에 싸서 잡아다가 딸과 재우고 죽이던 일. 이렇게 한 다음 그 딸은 과부가 될 액운을 면하였다고 하여 안심하고 다른 곳으로 시집을 갔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5

어떤 이야기나 사건의 줄거리에 끼인 짤막한 토막 이야기. 우리말샘

주16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길흉을 점침. 또는 그런 점. 우리말샘

주17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을 받아 지방관의 업적이나 잘못을 알아내거나 백성의 어려움을 살펴서 개선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우리말샘

주18

조선 시대에 관리가 나랏일을 할 때, 나라의 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임을 증명해 주는 둥근 모양의 패. 우리말샘

주19

남이 한 일에 대하여 고마움이나 칭찬의 뜻을 표시함. 주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한다. 우리말샘

주20

작은 바가지. 우리말샘

주22

문의 앞쪽. 우리말샘

주23

뭇사람의 말을 막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4

신기하고 이상하다. 우리말샘

주25

주관이나 원칙이 없이 덮어놓고 행동하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26

높여 소중히 여김. 우리말샘

주27

그때그때 처한 사태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우리말샘

주29

19세기 이전에 창작된 소설을 이르는 말. 우리나라의 경우 신소설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된 소설을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현숙(건국대학교 강사,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