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안식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이칭
이칭
개안식(開眼式)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개설

개안식(開眼式)이라고도 한다. 불상 · 불화 · 만다라(曼茶羅) · 석탑 · 불단 등을 만들거나 개수하였을 때, 이에 공양하고 그 불구(佛具)의 근본서원(根本誓願)을 개현(開顯)하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즉, 나무나 돌 · 종이 등에 조각되고 그려진 후, 그 물건에 점안식을 행함으로써 비로소 영험을 나타낼 수 있는 신앙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내용

흔히 거행되는 점안식으로는 불상점안 · 시왕점안 · 사천왕점안 · 조탑점안(造塔點眼) · 불화점안 · 가사점안(袈裟點眼) 등이 있다. 이들 점안식은 점안의 대상이 지니는 신앙적 기능에 따라서 그 의식내용도 달라진다.

불상점안은 부처님이 가진 32상(相)과 80종호(種好)의 장엄을 나타나게 해달라는 것이다. 이 32상 80종호는 인간과는 다른 부처님 상호의 특색으로서, 불상을 제작할 때에 이미 이와 같은 특징을 조각하거나 그리기도 하지만, 점안식은 이들 상호가 지니는 신앙적 의미를 부여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점안식의 절차는 먼저 점안의식을 행하는 도량을 정화한 뒤, 새로 조성한 불상이 32상 80종호의 특징을 지니고 여래 10호의 전지전능한 능력을 구족한 불상이 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어줄 것을 발원한 뒤 권공(勸供) 예배한다. 그 뒤 불상의 눈[眼]을 붓으로 그리게 됨으로써 점안식은 끝나는 것이다.

눈을 그리기 전에 이 불상의 눈이 육안(肉眼) · 천안(天眼) · 혜안(慧眼) · 법안(法眼) · 불안(佛眼) · 십안(十眼) · 천안(千眼) · 무진안(無盡眼)을 성취하고, 그 눈이 청정하고 원만하기를 기원하며, 또한 6신통(六神通) 등의 불상이 되기를 발원한 뒤, 개안광명진언(開眼光明眞言) · 안불안진언(安佛眼眞言) · 관욕진언(灌浴眞言) · 시수진언(施水眞言) · 안상진언(安相眞言) 등을 외워서 신비력을 가지게 한다.

나한점안 · 사천왕점안 · 시왕점안 등도 불상점안과 거의 같은 절차에 의해서 의식을 치르게 되지만, 나한 · 사천왕 · 시왕 등이 가지는 상호의 특징에 따라서 점안에 대한 발원이 달라진다. 이렇게 하여 개안절차가 모두 끝나면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삼신불(三身佛)에게 생명력을 갖춘 불상으로서의 증명을 받는 증명의식이 있게 되는데, 이를 불상증명창불(佛像證明唱佛)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범음집(梵音集)』
『조상경(造像經)』
『석문의범(釋門儀範)』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