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제현 신사비 ( )

목차
관련 정보
평안남도 용강 점제현 신사비 전경
평안남도 용강 점제현 신사비 전경
고대사
유적
북한 평안남도 룡강군 해운면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낙랑군의 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룡강군 해운면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낙랑군의 비.
개설

1914년 조선총독부 고적조사단(古蹟調査團)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비신(碑身)의 윗부분은 궐손(闕損)되었고, 남은 부분의 높이는 166㎝, 너비는 108㎝, 두께는 13.2㎝이다.

내용

자연석의 한 면을 갈아서 둘레와 돌의 변죽을 따라서 선을 긋고, 줄과 줄 사이에도 세로줄을 그어서 간격을 만들고, 그 안에 예서체(隷書體)로 글자를 새겨 7행의 비문을 써놓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年四月戊午秥蟬長□□□建丞屬國會陵爲衆□□□□神祠刻石辭曰

□平山君德配代嵩□□□□□佑秥蟬興甘風雨惠閏土田

□□壽考五穀豊成盜賊不起□□蟄藏出入吉利咸受神光

처음에는 연대와 일자가 있는데, 연대는 글자가 깨져서 알 수 없고 일자는 ‘사월 무오’라고 분명히 보인다. 다음에 ‘점제장’이 나오는데, 점제는 당시 낙랑군에 소속된 25개 현(縣) 가운데 하나이다.

다음에 ‘신사’라는 구절이 있고, 운문으로 된 사(辭)에 ‘□평산군’의 구절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비는 점제현의 장이 현민을 위하여 산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내용의 글을 새긴 것으로 짐작된다.

곧 “신이 점제를 도와주어 바람과 비가 순조롭고, 곡식이 풍성하게 잘 되고, 백성이 오래 살고, 도둑이 일어나지 않고, 무서운 짐승들이 나타나지 않고, 나들이를 하여도 다 무사하여 모두가 신의 혜택을 받게 해 달라.”는 내용이다.

이 비의 학술적 의의와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 건립연대 : 연대 부분의 글자가 없어져 건립 연대를 전한시대(前漢時代)로 추정하기도 하고, 또 신망(新莽) 시건국(始建國) 3년(서기전 11), 후한의 원화(元和) 2년(서기 85), 영초(永初) 2년(108), 광화(光和) 1년(178), 광화 2년(179), 경초(景初) 2년(238) 등 여러 설이 있으나, 『후한서』의 장제(章帝) 2년 조와 제사지 제8의 기사로 미루어볼 때 85년설이 가장 타당한 것 같다.

따라서, 이 비는 원화 2년 4월 무오(9일)에 건립된 것이 되므로, 현재 전하는 우리나라의 금석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② 점제현의 위치 : 낙랑군의 여러 현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없었는데 이 비의 발견으로 점제현이 지금의 용강임이 밝혀졌다.

③ 점제의 자음(字音) : 제(蟬)는 『한서』의 주에 ‘蟬音提’로 나와 있지만, 이 비의 운문 부분에 제(蟬)와 전(田)을 같은 운으로 쓴 것을 보면 오히려 당시에는 ‘제’가 아니라 ‘선’으로 읽은 듯하기도 하다는 설과 ‘秥’은 黏과 함께 ‘염’으로 읽어야 한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현재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점제라고 읽고 있다.

④ 건립주체 : 비의 재료가 자연석이고, 형태가 고구려비의 전형이며, 문장과 서체가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와 공통된 점으로 보아 고구려 상고(上古)의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상
『해동금석원보유(海東金石苑補遺)』
『조선금석고(朝鮮金石攷)』
「점선신사비지연구(秥蟬神祠碑之硏究)」(노간, 『동방학지(東方學志)』 23·24, 1980)
「패수고(浿水考)」(이병도, 『청구학총(靑丘學叢)』 13, 193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