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목 관아 ( )

목차
관련 정보
제주목 관아 전경
제주목 관아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제주목 관아의 건물터. 사적.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제주목 관아의 건물터. 사적.
내용

199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만 9533㎡. 관덕정(보물, 1963년 지정) 인접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1992년 2차에 걸친 발굴조사로 탐라국으로부터 조선·근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기의 유구와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특히 조선시대의 관아시설인 동헌(東軒)과 내아(內衙)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어 제주목의 관아지로 밝혀진 중요한 유적이다.

발굴조사로 밝혀진 건물지는 동헌터(27.5m×16.4m)를 비롯하여 내아터·내대문터·홍화각(弘化閣)터 등이며, 이들의 기단석 열과 주춧돌, 담장터 등이다.

시대상으로는 조선 전기 말 16세기경부터 후기 19세기경까지의 건물터와 담장터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조선시대 유구 밑에서는 통일신라시대(탐라국)의 문화층도 나타났다.

출토 유물은 기와조각이 대부분인데, 그중에는 ‘시주목사겸만호이(施主牧使兼萬戶李)’·‘동원차처관(同願此處官)’·‘천승석(天承錫)’·‘남조(監造)’·‘명숭정사(明崇貞四)’·‘갑술년(甲戌年)’·‘고내촌(高內村)’·‘대문(大門)’·‘성소임신이월(城所壬申二月)’·‘시주만호부승석(施主萬戶夫承碩)’·‘만호겸목사(萬戶兼牧使)’·‘만호겸목사태(萬戶兼牧使泰)’ 등의 명문기와가 있다.

막새기와에는 연꽃무늬를 오목개김한 수법의 목판 형식과 단판 형식의 연판무늬장식이 있다. 도자기는 15∼16세기의 조선시대의 각종 분청사기 및 백자조각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내등(內謄)’·‘대해(大海)’·‘충(忠)’·‘향공(享供)’·‘정(丁)’ 등의 명문도자기가 출토되었다.

제주목 관아지는 조선시대 이후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등 많은 기록이 있어 제주의 정치·행정·문화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으며, 제주대학교 발굴팀에 의하여 여러 유구와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더욱 확인되었다. 전문가의 고증과 자문을 거쳐 2002년 12월 복원공사를 완료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