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우리 나라 토산특산주는 중국인들에게 선호되어 많은 양이 교역되었음이 문헌에 전하여지고 있다.
조하주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723년(성덕왕 22)에 어아주(魚牙紬)와 같이 당나라에 보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측의 ≪책부원구 冊府元龜≫ · ≪당회요 唐會要≫ 등에도 748년(경덕왕 7)과 773년(혜공왕 9)에 조하주가 통일신라로부터 당나라에 보내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869년(경문왕 9)에 조하금(朝霞錦)을 당나라에 보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 조하금과 조하주가 어떻게 제직된 직물인지에 대한 우리 나라의 문헌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일본에는 텐지왕(天智王)과 텐무왕(天武王) 때 신라에서 하금(霞錦)을 보낸 기록이 있다.
이 하금에 대하여 일본측에서 해석하기를 운간조(繧𦅘調)의 간도(間道)와 같은 것이라고 하고 있어 무늬가 채색된 염문(染紋)의 직물임이 나타나고 있다. 하금과 조하금은 같은 직물에 대한 명명이므로 곧 조하금은 염문의 직물이었던 것이다. 일본에서는 ‘태자간도(太子間道)’라는 이름의 쇼토쿠태자(聖德太子) 소용이었던 직물편을 하금의 고대유물로 보고 있다.
태자간도는 붉은색이 주가 된 평직의 이카트(Ikat)직물이다. ≪사원 辭源≫에서는 조하를 “육기의 하나이며, 일출의 적황기이다(六氣之一 日始欲出赤黃氣也). ”라고 해석하고 있으니 곧 태자간도는 조하금의 조형염직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염직물이 그 바탕이 평직인 까닭에 유형에 따라서 조하주도 되고 조하금도 되었던 것으로 본다.
통일신라의 직관에는 조하방(朝霞房)과 소방전(蘇房典) · 홍전(紅典)이 있었는데 조하방에서 소방목 · 홍화 등의 염료로 조하주 · 조하금을 염색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염직물은 중국의 주(紬)나 금(錦)과는 구별되는 토속특산직물이었기 때문에 당나라 사람들에게 선호되어 150년 가까이 당나라에 보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