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전도감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숙종 때 화폐주조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목차
정의
고려 숙종 때 화폐주조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고려에서는 이미 996년(성종 15)에 철전(鐵錢)을 만들어 사용하게 하였는데, 이전에 미(米)·포(布) 등을 교환수단으로 사용해오던 가난한 일반백성들은 명목가치가 큰 철전을 사용할 수 없어 큰 불편을 겪게 되었다.

그리하여 6년 뒤인 1002년(목종 5) 다점(茶店)·주점(酒店)·식미점(食味店) 등의 점포에서만 철전을 사용하고 일반백성은 이전대로 물품화폐를 사용하게 하였다.

그런데 그 뒤 농업·공업의 생산력이 발전하여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고 기준이 명확한 금속화폐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하고, 한편으로는 송나라에 갔다온 의천(義天)이 금속화폐의 사용을 강력히 주장하자 1097년(숙종 2) 화폐주조의 업무를 담당할 관청으로서 주전도감이 설치되었다.

여기에서 만들어진 화폐는 주로 동전(銅錢)으로서, 1102년 12월 해동통보(海東通寶) 1만 5000관(貫)이 처음으로 만들어져 재추(宰樞)·문무양반(文武兩班)·군인에게 분배되었으며, 이어 삼한중보(三韓重寶)·동국통보(東國通寶)·동국중보(東國重寶)·해동중보(海東重寶) 등이 만들어졌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조선후기화폐사연구(朝鮮後期貨幣史硏究)』(원유한, 한국연구원, 1975)
『한국화폐소사(韓國貨幣小史)』(최호진, 서문당, 1974)
『조선화폐고(朝鮮貨幣考)』(류자후, 학예사, 1940)
「고려조(高麗朝)의 금속화폐유통(金屬貨幣流通)과 그 시각(視角)」(김병하, 『동양학(東洋學)』5, 1975)
「여말선초(麗末鮮初)의 화폐제도(貨幣制度)」(이능식,『진단학보(震檀學報)』16, 1949)
「高麗肅宗朝に於ける鑄錢動機に就いて」(秋浦秀雄, 『靑丘學叢』7·8·9, 1932)
집필자
원유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