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사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신라 하대 금석문에서 국왕과 승려 사이의 교류를 중개하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는 사인(使人) 관직.
이칭
이칭
세택(洗宅), 성사(星使), 중관(中官), 중연(中涓)
내용 요약

중사(中使)는 삼국시대, 신라 하대 금석문에서 국왕과 승려 사이의 교류를 중개하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는 사인(使人) 관직이다. 중국에서 주로 환관(宦官)이 임명되어, 환관 자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신라의 경우도 중사의 역할을 맡은 환관들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하대 금석문에서 국왕과 승려 사이의 교류를 중개하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는 사인(使人) 관직.
내용

본래 중사(中使)는 ‘중앙에서 급사(給使)하는 사람’ 혹은 ‘중앙에서 파견된 사자(使者)’의 의미로 중국 후한(後漢) 대부터 사용되던 용어이다. 환관(宦官)들이 주로 중사의 임무를 맡았는데, 당시에는 궁녀(宮女)나 주1의 양마인(養馬人)이 중사로 파견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후 주2 시기를 거치면서 환관이 중사로 임명되는 것이 고착화되어, 당(唐)대에는 환관 자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신라에서는 주3」, 주4」, 「태자사낭공대사비」 등 하대(下代)의 승려 비문에서 궁궐로 초빙하거나 주5를 전달하는 등 국왕과 주6 간의 교류를 중개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주7’, ‘중연(中涓)’, ‘중관(中官)’ 등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흥녕사징효대사보인탑비」에는 ‘중사성(中使省)’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의미와 발음 및 역할 상의 유사성을 볼 때 『 삼국사기』 직관지에 세택(洗宅)의 경덕왕 대 개칭명으로 나오는 중사성(中事省)과 동일한 실체로 판단된다. 중사성이 곧 중사들의 소속 관부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종래에는 중사성(세택)이 국왕의 주8 기구로서, 하대에 내조(內朝)를 형성하며 기존의 국왕 직속 행정관부 주9의 실권을 흡수해 갔으며, 고려시대의 핵심 관부 주10으로 계보가 이어졌다고 보았다.

그런데 경주 동궁과 주11에서 출토된 목간에 보이는 세택의 업무를 살펴보면 식해 · 젓갈 등 음식물의 관리나 목욕 관련 용품의 수급 등 궁내의 주12에 해당한다. 이에 당나라의 내시성(內侍省)에 해당하는 관부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렇다면 『삼국사기』 흥덕왕 원년조를 통해 신라에서 존재가 확인되는 환관들의 소속 관부가 중사성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단, 신라에서 중사의 역할을 맡았던 이들이 모두 환관들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왕의 근친 주13나 문한직(文翰職) 종사자 등이 중사를 주14한 경우들도 확인된다. 이들의 업무는 고승과의 교류 등 중사의 기본 역할을 벗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원전

동궁과 월지 출토 목간
「사림사홍각선사비」
『삼국사기(三國史記)』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흥녕사징효대사보인탑비」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사림사홍각선사비」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단행본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일조각, 1984)

논문

박수정, 「9세기 전반 신라 관제의 변화 양상과 세택(중사성)」(『신라사학보』 47, 신라사학회, 2019)
이재환, 「신라의 환관 관부에 대한 시론: 세택(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목간과 문자』 21, 한국목간학회, 2018)
이문기, 「신라 세택(중사성)의 기능과 관제적 위상의 변화」(『역사교육논집』 51,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이문기, 「안압지 출토 목간으로 본 신라의 세택」(『한국고대사연구』 65, 한국고대사학회, 2012)
주석
주1

황제의 궁궐.    우리말샘

주2

위진 남북조 시대의 남조(南朝)와 북조(北朝)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경상남도 창원시 봉림사 터에 있던 통일 신라 시대의 탑비. 통일 신라 경명왕 7년(923)에 진경 대사를 위해 왕이 직접 비문을 짓고, 행기가 글씨를 썼으며, 성휴가 새겼다. 거북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현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창원 봉림사지 진경 대사 탑비’이다.    우리말샘

주4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탑비.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동한 낭원 대사 개청의 것으로, 고려 태조 23년(940)에 세워졌다. 당대의 문장가인 최언위가 비문을 짓고, 서예가인 구족달이 글씨를 썼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강릉 보현사 낭원 대사 탑비’이다.    우리말샘

주5

상가(喪家)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6

덕이 높은 승려.    우리말샘

주7

천자(天子)로부터 파견된 사자(使者).    우리말샘

주8

웃어른을 가까이 모심.    우리말샘

주9

신라 때에, 국가 기밀과 정치나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맡아보던 최고의 행정 관아.    우리말샘

주10

고려 시대에 둔 삼성(三省)의 하나. 문정 15년(1061)에 내사성을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11

경북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신라 왕궁의 별궁 터. 우리나라 사적이다.    우리말샘

주12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사무나 일.    우리말샘

주13

남을 높여 그의 아들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두 가지 이상의 직무를 아울러 맡아봄. 또는 그 직무.    우리말샘

집필자
이재환(중앙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