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훈의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심대윤이 『중용』과 『대학』에 대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심대윤이 『중용』과 『대학』에 대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2권 1책. 필사본. 일설에 조선 말기의 학자 심대윤(沈大允)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권두에 우주의 생성 및 변화를 태극(太極)·양의(兩儀)·사상(四象) 등으로 체계화한 「삼극도(三極圖)」와 기(氣)·성(性)·심(心)·정(情) 등의 철학 용어의 개념을 분석, 도식으로 나타낸 「도본배삼극도(道本配三極圖)」 등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중용훈의」, 권2는 「대학고정(大學考正)」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제 또한 ‘용학(庸學)’으로 되어 있어 내용처럼 『중용』과 『대학』을 모두 포괄하고 있으므로 ‘중용훈의’라는 서목(書目)은 서지적인 정리 과정에서 비롯된 착오로 여겨진다.

권1의 「중용훈의」에서 주희(朱熹)가 정리한 편장(篇章)을 다소 수정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포괄적으로 인용함으로써 간단하고 명료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권2의 「대학고정」에서는 주희가 정리한 편차를 대폭 변경, 참신하고 명쾌한 견해를 정립하고 있다.

한편, 이 책은 조선 선조 때 조호익(曺好益)이 저술한 『대학동자문답(大學童子問答)』(1책)과 1781년(정조 5)부터 7년에 걸쳐 왕명으로 편집한 『대학유의(大學類義)』(21권) 및 중종 때 이언적(李彦迪)이 지은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29권)를 비롯,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이 본문의 각 절에 자신의 가치관 및 생활 신조 등을 결부시켜 해설한 『중용자잠(中庸自箴)』(3권) 등과 더불어 경학(經學)에 대한 총체적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주자(朱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변증연구(辨證硏究)」(이동희, 『민족문화』9, 민족문화추진회, 198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