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정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오명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오명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08년 9대손 영호(寧鎬)·정호(正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준(宋炳俊)의 서문, 권말에 9대손 광호(匡鎬)와 8대손 계호(啓浩)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1수, 서(序) 1편, 기(記) 1편, 문(文) 6편, 권2에 부록으로 만사 7수, 제문 3편, 묘비명·통문(通文)·유장(儒狀) 각 1편, 지선정(止善亭) 중수에 따른 시 57수, 상량문 1편, 제문 1편, 기 2편, 행실(行實) 1편, 후록(後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序)의 「시경유편서(詩經類編序)」에서는 『시경』에서의 훈계가 지극히 엄격하고 간절함을 술회하였다.

문의 「정본읍문(呈本邑文)」에서는 사기(士氣)를 나라의 원기(元氣)로 보고, 퇴폐한 풍속을 바로잡으려면 마땅히 선비를 배양하고 그 기운을 진작시켜 한 고을의 원기를 부지시키는 것이 옳다고 하였다. 또한, 「정열읍문(呈列邑文)」에서는 송인수(宋麟壽)와 정렴(鄭Ꜿ)의 서원 건립에 따른 부족한 재력 협조를 요청하였다.

「경의강론(經義講論)」에서는 『맹자』와 『논어』의 용공처(用功處)를 강론하였는데, 주로 성선(性善)·성악(性惡)의 극치와 인도(人道)의 원리를 옛 성현의 본 뜻에 따라 간단명료하고 쉽게 집약하였다. 이 밖에 시에서도 부분적으로 도학사상을 논급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