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호집 ()

목차
관련 정보
지호집
지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3권 6책. 활자본. 간행 연도는 미상이나 권두에 있는 조두순(趙斗淳)의 서문에 의하면 1856년(철종 7)에 간행된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52수, 권2·3에 소차(疏箚) 17편, 계사(啓辭) 3편, 서계(書啓) 1편, 헌의(獻議) 1편, 권4에 서(書) 26편, 권5·6에 잡저 16편, 서(序) 4편, 발(跋) 20편, 찬(贊) 2편, 권7에 제문 11편, 묘지명 6편, 권8∼13에 행장 19편, 행록 3편, 유사 3편, 전(傳) 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차는 사직소가 대부분이나, 국정에 대한 의견을 담고 있는 글도 있다. 「응지진언소(應旨進言疏)」에서는 호포법(戶布法)의 적폐(積弊)를 조목별로 지적, 그 시정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진강도사의별단소(進江都事宜別單疏)」에서는 강도의 지리적인 조건, 서울과의 거리, 국난을 맞았을 때 대피할 수 있는 점 등을 설명하고, 강도에 적합한 일을 12개 항목으로 나열, 그 시행을 요구하였다. 당시의 정치적인 풍토와 환경을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진소회소(陳所懷疏)」는 충신과 학자를 존경하는 것은 그 충절을 높여 온 백성이 따르게 하고자 함이요, 학문을 발전시켜 문명(文明)을 민생의 생활에 이용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당론에 좌우되어 선정(先正)들을 모독하거나 무함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글이다.

전의 「영릉육대군전(英陵六大君傳)」은 단종의 복위를 둘러싸고 일어난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그 해결을 위한 수양(首陽)·안평(安平)·임영(臨瀛)·금성(錦城)·평원(平原)·영응(永膺) 등 각 대군들의 활약상들이 전기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당시의 정치 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밖에 잡저인 「절재김공종서사실(節齋金公宗瑞事實)」은 김종서의 충절을 적은 글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