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번군 ()

고대사
제도
고조선 멸망 후 한(漢)이 설치한 군현.
이칭
이칭
진번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조선 멸망 후 한(漢)이 설치한 군현.
개설

이른바 한사군(漢四郡)의 하나이다. 중국 한(漢) 무제(武帝)가 서기전 108년에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고지를 중심으로 낙랑(樂浪) · 임둔(臨屯)과 함께 설치한 군현의 하나로서 『사기(史記)』 조선전(朝鮮傳) 등에 보이는 진번국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연원 및 변천

진번군은 한 무제의 군현 설치 이후 25년 만인 서기전 82년 낙랑군에 통합되었다. 서기전 75년 이후 얼마 되지 않아 낙랑군에 통합되었던 진번군의 옛 땅 일부에 새로 낙랑군 남부도위(樂浪郡南部都尉)를 설치하고 소명(昭明) · 대방(帶方) · 함자(含資) · 열구(列口) · 장잠(長岑) · 제혜(提혜) · 해명(海冥)의 7현을 관할하게 하는 동시에 소명현을 남부도위의 치소로 삼았다.

진번군 15현 중에서 낙랑군 남부도위로 귀속된 7현 이외, 나머지 8현에 관한 기사는 문헌에 보이지 않아 그 귀속을 알 수가 없다.

내용

진번군의 위치와 강역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복잡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홍직(李弘稙)에 의하면 북방설과 남방설, 즉 진번이 낙랑(원조선) 이북에 있었다는 설과 남쪽에 있었다는 설이 있다. 다시 이를 자세히 나누면, 북방설에는 요동설(遼東說) · 고구려지역설 · 숙신(肅愼) 지역설 등이 있다.

  1. 북방설

북방설의 첫 번째로 요동설이 있는데 이는 번한설(番汗說)과 답씨설(沓氏說)로 나뉜다. 번한설은 『사기』 조선전의 집해(集解)에 보이는 번한(番汗)에 비정한 것이고, 답씨설은 조선 숙종 때 이세구(李世龜)가 『양와집(養窩集)』 동국삼한사군고금강역조(東國三韓四郡古今疆域條)에서 『무릉서(茂陵書)』에 보이는 요동군 답시현의 음을 따서 말한 것이다.

두 번째로 고구려 지역설은 『사기』 조선전 색은(索隱)에 후한(後漢)의 응소(應邵)가 현도는 본래 진번국이라 했으며, 유득공(柳得恭)은 『사군지(四郡志)』에서 “고구려는 진번이 된다.”고 해 뒤의 현도군의 수현(首縣)인 고구려현을 진번군의 강역으로 보았다.

한치윤(韓致奫)의 『해동역사(海東繹史)』를 보고(補考)한 한진서(韓鎭書) 역이 이와 같으며, 일본의 나가(那珂通世)도 「조선고사고(朝鮮古史考)」에서 이 설을 좇고 있다.

세 번째로 숙신 지역설은 진번의 위치를 장백산맥(長白山脈) 동북부 일대에 비정하는 견해로, 『무릉서』의 진번군치 잡현(霅縣)은 장안(長安)에서 7,640리(里) 떨어져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해 안정복(安鼎福) · 김륜(金崙) · 남구만(南九萬) 등에 의해 제창되었다.

  1. 남방설

남방설에는 진국설(辰國說) · 맥국설(貊國說) · 재령평야설 · 진번재대방설(眞番在帶方說) · 진번재마한설(眞番在馬韓說) 등이 있다. 진국설은 『한서(漢書)』 조선전의 기록을 바탕으로 진번과 진국을 동일한 지역으로 보며, 진국이 진번과 같은 지역이라고 해석한다.

맥국설은 한백겸(韓百謙)의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에서 맥국의 고지(故地)인 강원도 지방을 진번에 비정하는 견해이다.

진번재대방설은 중국 청나라 말의 양수경(楊守敬)이 『회명헌고(晦明軒稿)』 왕사탁한지석지박의조(汪士鐸漢志釋地駁議條)에서 주장하고 있다.

즉 후한 말에 공손강(公孫康)이 대방군을 설치함에 따라 구진번군에 편입되어 있었던 남부지방을 독립시켜 대방군을 세웠다고 보아, 낙랑군 남부도위의 치소인 소명현을 진번군의 군치인 잡현으로 추정해 대방군이 차지한 옛 진번군의 강역은 지금의 경기도와 충청남도 북부에 걸치는 지역이라고 하였다.

재령평야설은 진번군의 강역이 대체로 황해도 재령평야를 중심으로 동쪽은 지금의 춘천 일대, 북쪽은 자비령, 남쪽은 한강 북안에 이르는 것이라는 이병도(李丙燾)의 주장이다.

양수경의 설과 한백겸의 진번설을 참작해 후한 말 공손씨(公孫氏)가 새로 둔 대방군은 자비령과 대동강 입구를 북계로 삼고 황해도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이며 동시에 진번의 북계도 이와 일치한다고 보고 있다.

남계는 『무릉서』에서 진번군의 속현 15현을 관할하고 있었다고 지적하고 지금의 한강 유역까지 미쳤으리라고 보았다.

마한 지역설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진번재충청도설이고 다른 하나는 충청도 및 전라북도설이다. 전자는 일본의 이나바(稻葉岩吉)가, 후자는 이마니시(今西龍)가 주장한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진번군은 물론 한사군 모두가 요서지역에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사군지(四郡志)』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동사강목(東史綱目)』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번군고(眞番郡考)」(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眞番郡考」(今西龍, 『史林』1·1, 1916)
「眞番郡の位置」(稻葉岩吉, 『朝鮮』114, 1914)
집필자
이형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