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춘 ()

고대사
인물
삼국 및 남북국시대 신라의 하서주총관 등을 역임한 관리, 장군.
이칭
이명
진순(眞純), 진순(陳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하서주 총관|경정 총관
관련 사건
도살성 전투
내용 요약

진춘은 삼국 및 남북국시대 신라의 하서주 총관 등을 역임한 관리, 장군이다. 관등은 이찬으로 진골 출신이다. 진덕왕 3년(649) 8월 도살성에서 치러진 백제와의 전투에 김유신, 죽지, 천존 등과 함께 나아가 싸워 승리를 거두었다. 문무왕 원년(661) 7월에 문훈과 함께 하서주 총관이 되었고, 8년(668) 6월에 죽지와 함께 경정 총관으로 임명되었다. 문무왕 16년(676)에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하였으나 왕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정의
삼국 및 남북국시대 신라의 하서주총관 등을 역임한 관리, 장군.
가계 및 인적 사항

진춘(陳春)은 진순(眞純 혹은 陳純)이라고도 한다. 관등은 이찬(伊湌)으로 진골 출신이다.

주요 활동

진춘은 진덕왕(眞德王, 재위: 647~654) 3년(649) 8월 도살성(道薩城)에서 치러진 백제와의 전투에 김유신(金庾信), 죽지(竹旨), 천존(天存) 등과 함께 나아가 싸워 승리를 거두었다.

백제의 장군 은상(殷相)이 무리를 거느리고 와서 석토성(石吐城) 등 7성을 공격해 함락하였고, 진춘 등이 3군을 이끌고 출병하였으나 승부를 내지 못하였는데, 김유신이 도살성 아래 주둔하면서 계책을 세워 백제군을 격파하였다. 백제의 장사(將士) 100명을 죽이거나 사로잡고 군졸 8,980명의 목을 베었으며, 전마(戰馬) 1만 필과 함께 획득한 병장기와 같은 것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대승이었다. 신라는 648년과 649년에 걸쳐 대(對) 백제전에서 거듭 승리를 거두며, 642년 대야성 전투에서의 패배를 설욕하였고, 김유신은 정치적 위상을 회복하였다.

이후 진춘은 문무왕(文武王, 재위: 661~681) 원년(661) 7월에 문훈(文訓)과 함께 하서주(河西州) 총관(摠管)이 되어 같은 해 8월, 문무왕 및 대장군 김유신과 함께 시이곡정(始飴谷停)으로 나아갔다. 같은 해 9월에는 옹산성(甕山城)을 포위, 공격하여 저항하던 수천 명의 백제 유민을 죽이고 항복을 받았다. 이 공으로 검(劍)을 하사받았다.

한편, 진춘은 문무왕 8년(668) 6월에 죽지와 함께 경정(京停) 총관(摠管)으로 임명되었다. 경정(京停)이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으므로 당시 고구려 정벌을 위하여 임시로 편성한 군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당나라 군대와 함께 평양성(平壤城)을 포위, 공격하였고 9월에 이르러 평양성이 함락되었다. 고구려를 멸망시킨 공을 포상하기 위해 문무왕은 같은 해 10월에 이찬과 장군 등을 모두 각간(角干)으로 삼았는데, 진춘 역시 이때 각간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문무왕 16년(676) 11월에 이르러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하였으나 왕은 받아들이지 않고 주1을 내렸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논문

윤성호, 「신라의 도살성, 금현성 전투와 국원 진출」(『한국고대사연구』 87, 한국고대사학회, 2017)
이문기, 「648-649년 신라의 대백제전 승리와 그 의미」(『신라문화』 4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6)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 당의 전쟁」(『新羅史學報』 38, 신라사학회, 2016)
이상훈, 「백제부흥군의 옹산성 주둔과 신라군의 대응」(『歷史敎育論集』 57, 歷史敎育學會, 2015)
주석
주1

궤장연(几杖宴) 때에 임금이 나라에 공이 많은 70세 이상의 늙은 대신에게 하사하던 궤(几)와 지팡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