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산 ()

자연지리
지명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과 오남읍, 화도읍에 걸쳐 있는 산.
지명/자연지명
높이
810.3m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마산은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과 오남읍, 화도읍에 걸쳐 있는 산이다. 천마산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는 810.3m의 높이의 산이다. 경기편마암 복합체에 속하는 호상 편마암으로 된 산지이며 수도권에 위치하여 많은 시민이 찾는 등산지이다. 천마산 군립공원으로 불리다가 2023년 8월 자연공원법 개정의 시행으로 천마산 시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과 오남읍, 화도읍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천마산의 높이는 810.3m이며 광주산맥에 속한다. 남양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세가 험하고 조잡하다 하여 예로부터 소박맞은 산이라는 별칭이 있다.

명칭 유래

고려 말, 이성계(李成桂)가 이 산이 매우 높아 손이 석자만 길어도 하늘을 만질 수 있겠다 하여 천마산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자연환경

암석은 경기편마암 복합체에 속하는 호상(縞狀) 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식생은 온대 주1에 속하는 지역으로 소나무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와 주2,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등의 낙엽 주3주5을 이룬다. 모두 690여 종의 식물이 자란다. 산지의 급경사지의 분포도 넓은 편이며 고도에 비해 경사가 급한 편에 속한다. 그러나 등산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어서 수도권 거주 주민들이 많이 찾는다.

능선이 산정을 중심으로 주4 형태를 이루고 있어 어느 지점에서도 정상이 바라보인다. 천마산의 북쪽 능선을 따라 괘라리고개에서 서북쪽에 철마산(鐵馬山, 711m)이 있다.

현황

북쪽 기슭에는 고려 초기인 949년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진 보광사가 있는데, 임경업 장군의 전설이 서려 있는 곳이다.

정상의 남서쪽 인근에는 높은 절벽 바위가 있으며 이 곳에서 연중 끊이지 않고 물이 솟아 일명 약물바위샘이라고도 불린다.

산의 중턱 아래쪽은 각종 연수원 · 수련장 등이 있고, 산의 남쪽 기슭에 스키장이 운영되다가 2021년 폐장되었다.

천마산의 등산로는 다음과 같다. 1코스(호평동코스) : 수진사 입구 - 천마의집 - 삼각지 - 천마산 정상 2코스(천마산역코스) : 천마산역 - 주먹바위 - 뾰족봉 - 천마산 정상 3코스(천마산관리소코스) : 천마산 관리소 - 깔딱고개 - 뾰족봉 - 천마산 정상 4코스(가곡리코스) : 보광사 입구 - 팔현리 갈림길 - 멸도봉 - 천마산 정상

1983년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23년 8월 개정 자연공원법에 따라 천마산 시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봉을 중심으로 북동쪽은 경사가 급하고 서쪽은 완만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韓國)의 산지(山地)』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지명총람(韓國地名總攬)』 (한글학회, 1985)
『한국지리지 수도권)』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지리지 총론)』 (국토지리정보원, 2008)

논문

이수동, 한봉호, 배정희, 이경재,「생태적(生態的) 측면(側面)에서의 자연공원(自然公園) 관리계획(管理計劃) 수립방안(樹立方案) -천마산군립공원을 중심으로」 (『국토계획(國土計劃)』 41(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인터넷 자료

남양주시청(http://www.nyj.go.kr)
한국관광공사(http://korean.visitkorea.or.kr/kor/ti/everywhere_sightseeings/type_sightseeings/list_677.jsp?cid=125453)
주석
주1

우리나라 삼림대 가운데 동해안에서는 북위 40도, 중부지역은 38도, 서해안 지역은 39도를 연결하는 남쪽 지역.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해안과 서해안의 경우 내륙 지역과 비교하면, 일부 북상하여 분포하고 있다. 주로 졸참나무, 음나무, 물푸레나무 따위의 낙엽 활엽 교목이 수종을 이룬다. 우리말샘

주2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5월에 잎보다 꽃이 먼저 피고, 웅화수와 자화수는 밑으로 처지며, 자화수는 대가 있다. 열매는 견과(堅果)로 산지(山地)에 나는데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

가을이나 겨울에 잎이 떨어졌다가 봄에 새잎이 나는 나무 가운데 납작하고 넓은 잎을 가진 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벚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4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 우리말샘

주5

식물 군집 안에서 가장 수가 많거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종.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며 군집의 분류에도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