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진암 ()

불교
유적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 북서쪽에 있었던 암자.
이칭
이칭
천진암지
유적/건물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진암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 북서쪽에 있었던 암자이다. 창건 연대나 구체적 실상은 알 수 없지만 18∼19세기의 관련 기록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존속한 사찰이었고 잡역으로 종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1962년에 천진암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천진암은 한국의 초기 천주교 관련 강학지로도 알려져 있는데, 당시 불교의 포용성을 상징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정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 북서쪽에 있었던 암자.
변천

18세기 자료인 『해동지도(海東地圖)』, 『광여도(廣輿圖)』 등의 광주부(廣州府)에는 앵자산(鸎子山) 천진암(天眞庵)이 기재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 경기도 광주부에는 천진암이 “주의 동쪽 40리에 있다”라고 되어있고, 18세기 말의 『범우고(梵宇攷)』에도 천진암이 적혀 있다.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1847)에는 “천진암은 오래된 사찰로 종이를 만들었다. 지금은 사옹원(司饔院)에 속한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에는 정약용(丁若鏞)이 형제들과 천진암을 방문하여 묵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9세기 이후 박해를 피해 숨어든 천주교인들의 은신처로 활용되었다.

천진암의 폐사 시점은 알 수 없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천진암지는 1962년에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어, 1979년부터 1981년 사이에 천주교 측에서 한국 천주교 초기 인물들의 묘를 이장하였다. 천진암지 내에는 조선 후기 수파문(水波紋, 물결 무늬), 무문 와편과 백자편 등이 소량 산포되어 있다.

역사적 사건

1768년부터 1783년까지 남인 계열 학자들의 강학 모임이 주어사(走魚寺)와 함께 천진암에서도 열렸다. 1779년(정조 3) 이익(李瀷)의 제자 권철신(權哲身)이 주도한 강학 때는 정약전(丁若銓), 이벽(李檗) 등이 참여했다. 권철신이 경기도 광주 감호(鑑湖: 현재 양평군 강상면)를 근거지로 했기에 인근의 주어사와 천진암에서 강학회를 가진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천진암은 불교 사암의 하나로, 조선 지식인들이 독서와 토론의 장소로 활용했던 공간, 그리고 불교와 함께 유교, 천주교 등 여러 종교 사상이 공존했던 곳이었다. 특히 천진암은 남인 유학자들이 유교 경서 등을 대상으로 강학회를 열면서 한국의 초기 천주교와 관련된 장소로도 알려져 있는데, 당시 불교의 포용성과 상생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

단행본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시』, 광주시·조선관요박물관, 2005)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광주군, 2000)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안응렬·최석우 역, 분도출판사, 1979(상)·1980(중·하))

논문

김성연, 「샤를르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비친 조선 후기 불교」(『불교문예연구』 24, 동방문화대학원대 불교문예연구소, 2024)
민순의, 「불교 역사 왜곡의 현황과 실태- 주어사, 천진암에 대한 한국천주교회의 성지화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30-2,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