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진암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유적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鶯子峰)에 있었던 한국천주교회의 발상과 관련된 암자. 천주교성지.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앵자봉(鶯子峰)에 있었던 한국천주교회의 발상과 관련된 암자. 천주교성지.
내용

한국천주교회의 발상(發祥)과 관련되는 사적지로, 이곳에 있었던 천진암은 지금은 폐사(廢寺)되었다.

18세기 중엽 권철신(權哲身)을 중심으로 한 남인계 소장학자들은 경기도 광주와 여주 등지의 사찰에서 강학(講學)을 가졌는데, 그들이 강학한 장소 중의 하나가 바로 천진암이다.

강학의 내용은 주로 유교경전에 대한 연구를 위주로 하였으나 당시 전래된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도 검토되었다. 이들 중 천진암을 자주 방문하였던 인물로는 이벽(李檗)과 정약용(丁若鏞)이 대표적이다.

정약용의『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는 천진암과 관련된 시문이 여러 편 보인다. 그 때 벌써 퇴락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

천진암은 그 뒤 폐허가 되었으나 1962년에 남상철(南相喆)에 의하여 절터가 확인되었고, 이후 1975년부터 변기영 묜시뇰의 주도로 천주교 성지로 개발되었다. 천진암의 성지 개발은 천주교사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1779년의 강학이 천진암에서 개최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즉 권철신이 주관한 1779년의 강학에 대해서는 천진암 개최설과 주어사 개최설이 있는데, 천진암설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이곳을 성지로 개발했던 것이다. 1979∼1981년 사이에 이벽 · 정약종(丁若鍾) · 권철신 · 권일신(權日身) · 이승훈(李承薰) 등 한국천주교회 초기 인물들의 묘소가 이곳으로 이장되었고, 현재 신도들의 순례에 필요한 각종 시설들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성지』(이충우, 분도출판사, 1981)
「천진암·주어사강학회논변」(이원순, 『한국천주교회사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