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 여래 좌상·청동 사리탑 ( · )

목차
관련 정보
청동사리탑
청동사리탑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통도사에 있는 불상과 사리탑.
목차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통도사에 있는 불상과 사리탑.
내용

불상 높이 11.3㎝, 어깨 너비 4㎝, 광배 넓이 6.7㎝. 사리탑의 높이 11.3㎝, 최대 넓이 8㎝, 상륜부 높이 16.5㎝.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불상의 머리는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이며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눈에 비하여 코와 입이 상대적으로 작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왼쪽 어깨로 흘러내린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와 허리에 주름이 평행으로 새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체에 비해 유난히 작은 결가부좌한 다리에도 평행의 주름이 표현되었다.

수인(手印)은 파손되어 정확하지는 않으나,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으로 보인다. 왼손은 배 부근에 수평으로 들고 있어 손에 약기(藥器)를 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체 뒤에는 화염문(火焰文 : 불꽃무늬)으로 투각(透刻 : 뚫새김)된 거신광(擧身光 : 부처나 보살의 온몸에서 나오는 빛)이 세워져 있다.

상체와 하체의 비례가 맞지 않고 파손이 심해 전체적으로 조화는 맞지 않으나, 제작 수법으로 볼 때 고려시대 조상으로 생각된다.

청동제 사리탑(舍利塔)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삼층의 탑신(塔身) 부분과 상륜부(相輪部)만 남아 있다. 기단부와 상단부 부분이 훼손되어 원래의 모습을 복원해 보기 힘들다. 하지만 세부의 표현으로 보아 섬세하고 화려한 탑이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남아 있는 부분을 살펴보면 옥신(屋身) 부분은 목조탑을 모방하였고, 상륜부는 일반 석탑과 같은 형태이다. 각 층 옥개(屋蓋)의 네 모서리에는 풍탁(風鐸 : 풍경)이 매달려 있고, 지붕에는 기왓골을 새겨 목조 건물을 연상케 한다. 탑신에는 기둥 · 공포 등이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어 목조 건축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사리탑은 완형은 아니지만 현존하는 청동 소탑 가운데에서 찰주(擦柱 : 탑의 중심 기둥)와 상륜부가 남아 있어, 고려시대의 사리기와 탑파 연구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