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후손 계익(啓翼)·경범(卿範)·준범(駿範)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제(宋秉濟)의 서문, 권말에 기우만(奇宇萬)·경범·준범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0수, 권2에 서(書) 4편, 기(記)·서(序)·설(說)·잠(箴)·명(銘) 각 1편, 세계도, 권3에 부록으로 연보·연보발·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표·사림통유(士林通諭)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서정을 바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설매(雪梅)」·「초월(初月)」·「견풍전낙화(見風前落花)」·「연초래(燕初來)」 등이 있다. 그리고 임진·정유 두 차례에 걸친 왜란의 시대적 고난을 배경으로 한 「난평후음(亂平後吟)」·「난후여곤계상회(亂後與昆季相會)」과, 고경명(高敬命)·박광옥(朴光玉)·고용후(高用厚)·변경윤(邊慶胤) 등에게 준 증여시(贈與詩) 등이 있다. 그 밖에 「두(斗)」·「계(鷄)」 등 기물이나 가축의 효용 가치를 묘사한 작품도 있다.
서(書) 가운데 「상박사백형서(上博士伯兄書)」는 당시 성균관박사로 재직하고 있던 형 함일(涵一)에게 보낸 것이다. 권력에 아부하거나 소신이 꺾이기 쉬운 벼슬아치들의 일반적 성향을 언급한 뒤, 떳떳하고 올바르게 직무를 수행할 것을 염원하는 자신의 소망을 전하는 내용의 편지다.
「강의재기(講義齋記)」·「청사자서(淸査自序)」·「명설(名說)」 등은 자신의 서실(書室)·호(號)·이름 등에 관해 설명한 것이고, 「장명(杖銘)」은 지팡이의 고마움에 대해 함축성이 풍부한 필치로 묘사한 글이다.
「사림통유」는 저자 사후에 유림(儒林)에서 그의 형 함일과 그를 사당에 배향할 것을 건의한 것이고, 부록은 송병제·고정진(高貞鎭)·민규호(閔奎鎬) 등이 저자의 조상과 행적에 대해 기술한 글들이다.
저자가 정유재란 당시 왜인에게 끌려가다가 적이 술에 취해 잠든 틈에 도망한 사실과 임진·정유 두 차례에 걸친 왜란에 대한 단편적인 상황이 간간이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