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악 ()

목차
국악
작품
문화재
충청북도 청주시에 전승하는 농악.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에 전승하는 농악.
내용

충청북도 청주시에 전승하는 농악. 1992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92년 10월에 지정되었다. 청주농악의 시초는 지동마을 농악이라 하겠으나 현재의 청주농악은 소박한 마을농악의 차원을 벗어난다.

청주시 흥덕구 강서1동 지동마을은 큰목골·작은 목골의 두 자연 부락으로 나뉘어 마을 단위로 걸립을 하기도 하고, 논매기철의 두레농악과 백중께의 머슴농악으로 농악의 기량을 키워 왔다.

광복 후에 이종환을 비롯하여 강서·신촌·서촌·남촌·내곡·원평·송절·신대·비하리에 거주하는 농악인들이 모여 농악대를 발족시킨 것이 오늘날의 청주농악이 되었다.

상쇠 이종환(李鍾煥:1924년생, 지동 토민)은 13세부터 쇠를 치기 시작하였고 16세 때는 대전 웃다리농악의 송순갑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20세부터 상쇠를 담당했다.

이종환의 계보는 그의 부친인 이원삼(李元三)-김창환(金昌煥)-이종환에 이른다. 이들 농악은 제6회(1965), 제7회(1966년)와 제30회(1989)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각각 문화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쇠가락에는 길군악(칠채), 꽃나부장단, 다드래기, 춤장단(굿거리), 신식 행진가락 및 두레 김맬 때의 장풍장가락 등이 있다. 판굿으로는 모임굿, 길군악, 인사굿, 태극무늬 대형으로 앉으며 ‘태극기’라는 구호를 외치는 태극(太極)굿, 멍석말이(칠채를 치며 큰 원을 그린 다음 꽃나부가락에 맞추어 조인다.

빠른 2채가락이 나오면 사뿐 사뿐 뛰는 걸음으로 더욱 조인 후, 중심에 있는 상쇠를 따라 나선형으로 풀고 짝쇠가락을 치면서 圓陣을 함)가 있다.

또한 꽃봉오리굿(원의 중심엔 상쇠·잡색이 놀고 그 주변을 법고가 원을 그리며, 사물은 그 바깥으로 더 큰 원을 그리고 논다), 갈림법고와 법고놀이(쇠·징·장구·북은 상쇠를 따라 전진하고 법고는 뒤를 돌아서 맨 끝에 있는 꼬리 법고를 따라가 쇠잽이 대열과 두 개 대열이 되어 여러 가지 대칭 모습을 보인 다음, 법고놀이를 한다)가 있다.

그 밖에 삼성굿(三城굿, 삼통백이:원을 3개 만듬), 십자(十字)놀이굿, 사성굿(4통백이), 쓰레질굿(사각형대열), 새조시굿(상쇠의 딱딱 끊기는 발림가락에 따라 좌·우·뒤·앞으로 2보씩 나감), 개인놀이(상쇠의 까치발춤·땅재주·부포놀이, 장구놀이 등), 갈지자굿(之자 대열 뒤에 “호호”구호를 외치고 뒷풀이굿을 친다)이 있다.

농악대는 기수 3∼6(농기1, 영기 2∼5)·쇄납1·쇠 3(상쇠, 부쇠, 종쇠)·징 2(수징, 부징)·장구 4(상장구, 부장구, 종장구, 사장구)·북 2(수북, 부북)·법고 8(상법고, 부법고·종법고…꼬리법고)·잡색(포수, 가장녀 양반, 무동)으로 편성된다.

참고문헌

『지정심의자료』(충북도청, 199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