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운전 ()

고전산문
작품
19세기 후반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최보은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보운전」은 19세기 후반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주인공 최보운의 영웅적 일대기를 그린 영웅소설이다. 전반부는 주로 남주인공 보운의 애정담과 태자의 애정담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후반부는 보운의 영웅적 활약상이 그려진 군담이 서술되고 있다. 보운의 이야기와는 별도로 태자의 삽화를 넣음으로써, 남녀 관계의 애정담이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으며, 당시 유행하던 다양한 모티프를 수용하고 있어 조선 후기에 인기를 구가하던 영웅소설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정의
19세기 후반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2책. 국문 필사본. ‘최보은전(崔報恩傳)’이라고도 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존 논의에서는 경자년과 임자년이라는 간기에 의거해, 현재 전하는 2종의 필사본을 각각 1900년과 1912년에 필사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2권으로 분책되어 있는 전자의 경우, 권지이(券之二) 말미의 ‘기해(己亥)’라는 간기에 의거한다면 작품의 필사 연대를 1899년으로도 볼 수 있다는 새로운 논의가 제기되었다. 최근의 논의에 따라 필사 연대를 추정할 경우, 「최보운전」은 대략 19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내용

최휘(崔暉)라는 재상은 늦게까지 자식이 없었으나 노승에게 시주하여 아들 보운(保雲)과 딸 벽도(碧桃)를 얻은 뒤, 간신의 참소로 귀양 가게 된다.

한편, 궁중에서는 8살의 태자가 액을 피하기 위하여 궁중을 나와 신원을 숨기고 방황하다가 우승상을 역임한 황하숙(黃夏肅)의 집에 사환으로 지내게 된다. 황 승상(황하숙)은 태자의 비범함을 보고, 자신의 세 딸에게 태자와 혼인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다. 그러자 셋째 딸만이 그와 혼인하겠다고 답한다.

그 뒤 황승상이 죽자 태자는 가족들의 부탁대로 셋째 딸과 후일을 약속하고 그 집에서 나온다. 태자는 최 승상의 집을 찾아 그의 아들 보운과 함께 지내면서 그의 누이 벽도와도 인연을 맺는다.

벽도의 아름다움을 탐내 청혼해 오는 권신의 압력으로 집에 있을 수 없게 되자, 태자는 궁중으로 돌아와 벽도를 태자비로 맞아들인다. 보운은 도승을 만나 병서(兵書)를 배운다.

토번(吐蕃)이 침범하여 황성이 함락되고 천자가 포위되자, 보운이 황성으로 달려와 천자를 구출하고 대원수가 되어 토번의 항복을 받아낸다. 보운이 개선하자 태자는 천자께 주청하여 간신들을 축출하고, 또 천자의 주선으로 인연만 맺어 두었던 남녀 주인공들이 모두 혼례를 올려 부귀와 영화를 누린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들의 결연담과 무용담이 엮어진 것으로, 고소설 가운데 흔히 볼 수 있는 영웅소설이다. 결연과 무용담으로 흥미를 돋우며 입신양명으로 철저하게 주1를 추구하였다.

구성면에서 볼 때, 태자가 8년간이나 궁중에서 나와 신분을 숨기고 사환까지 한다는 설정은 다른 작품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액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고, 민간의 생활 양상을 파악해 보려는 의도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작품의 가치 면에서는 주목할 것이 못 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사, 1981)

논문

강현조, 「근대 초기 활자본 소설의 전래 서사 수용 및 근대적 변전(變轉) 양상 연구-〈육선각(六仙閣)〉과 〈한월(恨月)〉을 중심으로-」(『고소설연구』 36, 한국고소설학회, 2013)
김미선, 「「최보은전」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주석
주1

모든 일에 개인의 공명(功名)과 이익만을 추구하는 경향이나 태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