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파집 ()

목차
관련 정보
추파집
추파집
불교
문헌
조선 후기의 승려, 홍유의 시 · 서(書) · 서(序)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홍유의 시 · 서(書) · 서(序)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권두에는 1775년(영조 51) 9월에 신경준(申景濬)이 쓴 서(序)와 목만중(睦萬中)의 제(題), 윤숙(尹塾)과 유광익(柳光翼)의 서가 첨부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초서로 쓴 것이며, 그 필법이 볼만하다. 권말에는 1780년(정조 4)에 유기(有璣)가 쓴 후서(後敍)와 채제공(蔡濟恭)이 지은 찬, 유숙지(柳肅之)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칠언고시 2편, 오언절구 19수, 오언율시 7수, 칠언절구 7수, 칠언율시 7수가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서(書)와 서(序), 권3에는 기(記)와 잡저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서(書)에는 당시의 유생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비롯하여, 역암(櫟庵)·환응(幻應)·혜암(惠庵)·백파(白坡)·용암(龍巖) 등 당대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편지 29통이 수록되어 있고, 사람을 보낼 때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쓴 20여 편의 서(序)가 있다. 권3에는 「상주묘적암기(尙州妙寂庵記)」·「유속리산기(遊俗離山記)」 등 12편의 기문과 「제보화천존문(祭普化天尊文)」·상량문 등 잡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