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화산성 ()

추화산성
추화산성
건축
유적
국가유산
삼국시대, 경상남도 밀양시 추화산(해발243m)에 축조된 신라의 석축 포곡식 산성.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신라
관련 인물
손긍훈
높이
4m
둘레
1,430m
면적
90,912㎡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376-1번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기념물(1990년 1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376-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추화산성(推火山城)은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신라의 석축 포곡식 산성이다. 동문과 남문, 북쪽 계곡에는 우물과 집수지, 부속 건물 등이 위치하고 있다. 산성의 내부에서 단각고배, 인화문토기, 승렴문호, 파상문 단경호, 순청자 접시, 상감청자 종지, 분청자 저부편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삼국시대(6세기 후반경)에 초축되어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까지 산성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의
삼국시대, 경상남도 밀양시 추화산(해발243m)에 축조된 신라의 석축 포곡식 산성.
산성의 위치

추화산성(推火山城)은 밀양강과 경상북도 경주 방면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단장천이 합류하는 추화산 정상에 위치한 석축 산성으로, 둘레가 1,430m에 이르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동문과 남문이 있고 북쪽 계곡의 평지에는 만들어진 시기를 알 수 없는 우물, 집수지, 부속 건물들이 있다. 산성의 정상부에는 추화산 봉수대가 시굴 조사를 거쳐 복원되어 있다.

변천

밀양은 고려 995년(성종 14)에 밀주자사를 두었다가 현종 9년(1018)에 지밀성군사를 두었던 곳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밀성군이 되었다가 밀양도호부로 다시 승격된 읍격이 높은 고을이었다.

특히 추화산은 고려 태조를 도운 공으로 광리군에 봉해진 고려 개국공신 손긍훈을 모신 성황사가 있던 곳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에 추화산과 추화산성은 밀양을 대표하는 장소로 손긍훈과 관련된 의례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그러나 밀양은 1274년(충렬왕 원년) 삼별초의 난 때 적과 내통한 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었고, 진산도 추화산에서 백화산으로 바뀌게 되면서 추화산성은 그 상징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형태와 특징

추화산성의 체성(体城) 내탁(內托)부는 먼저 암반층을 깎아 넓고 평평하게 땅을 고르고 두께 25cm 정도의 판상 석재를 평평하게 쌓았다. 외벽의 바깥 100cm 지점에 보축(補築)과 함께 외벽의 돌을 사면의 일정 높이까지 내탁 수법으로 쌓은 후 그 사이에는 잡석을 채워 넣었다. 외벽 보축의 폭은 대체로 100cm를 유지하지만 더러 540cm까지 넓어지는데 이러한 부분은 통로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체성부의 적심(積心)과 생토면(生土面)이 노출된 산자락 사이를 점토로 다짐하여 400cm 정도 높이로 체성을 쌓아올렸다. 산성의 협축(挾築)부는 체성의 폭과 같이 400cm로 하여 내벽부에도 판상의 석재를 평평하게 쌓는 협축(夾築)의 방식으로 성벽을 올렸다. 내벽의 높이는 4~5단 정도 남아 있고 높이는 80cm 가량이다.

추화산의 능선 상에 위치한 남문은 750cm 폭으로 생토를 골라 평탄면을 조성한 후 수혈(水穴)을 파고 적심을 채운 후 초석을 놓았다. 그 위해 정면 1칸, 측면 1칸의 문루(門樓)를 설치하였다. 남쪽 곡각지 내부에서 산성을 초축할 당시의 수혈 주거지(竪穴住居址)가 출토되었는데 고려시대에 이를 메우고 기와 건물지로 고쳐 지었다. 동문지는 남문지와 달리 계곡을 메워서 체성과 높이를 맞춘 다음 초석과 판석을 깔아 만들었는데, 길이와 너비가 710cm인 장방형(長方形) 구조로 되어 있다.

추화산성은 남쪽 수혈 주거지가 고려시대에 이르러 건물지로 다시 사용된 것이나 단각고배, 인화문토기, 승렴문호, 파상문 단경호, 순청자 접시, 상감청자 종지, 분청자 저부편 등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이 고루 출토된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성이 처음 만들어져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까지 사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추화산성은 경주와 상주로 향하는 수로를 조망할 수 있는 요지에 세워진 성으로 삼국시대에 처음 만들어져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이용된 곳이다. 다만 산성의 내부 조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산성이 처음 만들어진 이래로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는 짐작하기 어렵다.

밀양 추화산은 고려 개국공신 손긍훈과 관련된 성황사가 있던 고려시대의 상징적인 공간이었다. 또한 추화산과 추화산성은 창녕 화왕산성이나 광양 마로산성과 같이 진산에 축조된 성곽이라는 점에서 관련된 차원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동아대학교 박물관, 『밀양추화산봉수대 시굴조사보고서』(2001)
동아대학교 박물관, 『밀양추화산성 시굴조사보고서』(2002)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