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피케이악극단 (KPK)

연극
단체
해방 시기, 김해송을 중심으로 서양 음악을 한국적으로 수용했던 악극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45년 12월
해체 시기
1950년
설립자
김해송
전신
조선악극단
후신
이난영악극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케이피케이악극단은 해방 시기 김해송을 중심으로 서양 음악을 한국적으로 수용했던 악극 단체이다. 트로트, 민요, 재즈 등을 활용하여 쇼, 레뷔, 뮤지컬을 시도했다. 구성원과 무대 방식에서 조선악극단을 일부 계승한 부분이 있으며, 전통 음악과 재즈를 스윙으로 연결시킨 김해송의 곡은 미군 부대 및 무대에서 각광받았다. 미국 초기 뮤지컬 무대를 선보인 악단이란 평가와 1960년대 버라이어티 쇼를 양산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의
해방 시기, 김해송을 중심으로 서양 음악을 한국적으로 수용했던 악극 단체.
설립 목적

오케레코드와 조선악극단에서 활동했던 김해송은 악기 연주, 지휘, 작곡, 편곡에 능했고 1944년 약초가극단으로 이난영, 박향림, 홍청자, 최병호 등과 이적하여 공연을 했다. 1945년 8월 김해송 사단은 만타악극단을 창립하지만 공연을 올리지는 못했다. 이후 김해송 주도의 공연 단체는 1945년 12월에 케이피케이악극단으로 등장하였다.

변천 및 현황

케이피케이악극단은 1945년부터 한국전쟁 전까지 주1, 주2, 주3, 쇼와 같은 시도를 했다. 케이피케이악극단의 시작은 이난영, 장세정과 같은 가수 중심이었으나 극적인 요소들을 결합하면서 변화가 생긴다. 1946년 10월 초등학교 학력의 성악, 현대 무용, 탭 댄스 가능한 이들을 음악무용연구소에서 모집할 정도로 규모를 키웠다. 악극단은 음악 시, 음악 희극, 그랜드 쇼, 로칼 쇼, 오페레타 등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초기 악극단의 공연은 김해송의 음악 위주의 버라이어티 주4 중심이었다가 윤부길과 합작하여 공연의 연기 부분이 보완되었다. 윤부길이 탈퇴한 이후 국외 고전 희곡, 오페라, 영화 등을 통해 소재를 발굴하고자 했다. 김해송은 음악 외에도 연출, 장치와 조화를 이루는 무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악극단 음악은 전통 음악과 재즈를 자연스럽게 스윙 재즈로 연결한 김해송의 곡으로, 미군 부대와 다양한 무대에서 각광받았다.

주요 출연진은 김해송, 장세정, 윤부길, 이난영, 박향림, 신카나리아, 최병호, 현경섭, 이병우, 이봉룡 등이었다. 1950년 6월 <자매와 수병>을 마지막으로 김해송이 납북되면서 부인 이난영이 악단을 잠시 운영하였지만, 실패를 거듭하고 해체되었다.

주요 공연 작품은 <물레방아>, <푸른 광상곡>, <이사랑전>, <아라리아의 노래>, <순정의 곡>, <육찬십용사>, <도란도도>, <칼멘 환상곡>, <김삿갓>, <자매와 수병>, <풍차 도는 고향>, <남남북녀>, <한 많은 유심사(唯心寺)>, <남편의 고통>, <로미오와 줄리엣>등이다.

의의 및 평가

작곡가 김해송의 역량으로 인해 트로트, 민요, 재스 등의 여러 장르 문법을 아우르거나 교차하는 음악을 활용할 수 있었고, 조선악극단보다 발전한 공연 형식을 보이게 되었다. 미국 초기 뮤지컬 무대를 선보인 악단이란 평가와 1960년대 버라이어티 쇼를 양산하는 기반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호연, 『한국근대악극연구』 (민속원, 2009)

논문

이준희, 「김해송 무대음악활동 초탐」 (『대중음악』 9, 한국대중음악학회, 2012)
최유준, 「이난영의 눈물」 (『한국인물사연구』 20, 한국음악사학회, 2013)

기타 자료

박노홍, ‘한국악극사’ (『한국연극』, 1978.6.∼1979.4.)
주석
주1

연극 분야에서 노래, 곡예, 연극 등이 다양하게 구성된 혼합 연예. 우리말샘

주2

가벼운 희극에 통속적인 노래나 춤을 곁들인 오락성이 짙은 음악극. 18세기 무렵에는 소규모의 오페라였으나, 19세기 중엽부터 파리와 빈을 중심으로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바뀌었다. <천국과 지옥>, <보카치오>, <박쥐#GT#따위가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3

가악(歌樂)과 연극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노래, 곡예, 토막극 따위의 여러 가지를 섞어 공연하는 구경거리.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