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애기타령 (큰애기)

목차
구비문학
작품
처녀들이 나물 캐는 일 등을 하거나 소녀들이 놀이를 할 때 불리던 민요.
목차
정의
처녀들이 나물 캐는 일 등을 하거나 소녀들이 놀이를 할 때 불리던 민요.
내용

유희요의 일종으로 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내용은 각 지방의 처녀들이 돈벌러 나가는 것을 풍자와 해학적으로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큰애기’는 여자의 이름이 없을 때 큰 처녀를 부르는 애칭이다. 이들이 돈벌러 나가는 내용으로 보아 개화기 전후에 불리기 시작한 노래로, 동요의 특징인 당시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근래까지 애창되던 것이나 최근에는 거의 소멸되어 들어보기 힘들다.

대표적인 노래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왕십리처녀는 메나리장사로 나가고/삼청동처녀는 빨래장사로 나가고/유각골[樓上洞]처녀는 쌈지장사로 나가고/연못골[蓮池洞]처녀는 나막신장사로 나가고/잼배(남대문 밖의 紫巖)처녀는 엿장사로 나간다······”(서울지방).

“다리송당(松堂) 큰아기들은 피방아찧기로 다나간다/함덕(咸德)근방 큰아기들은 신깍부비기로 다나간다/조천(朝天) 근방 큰아기들은 망건틀기로 다나간다······”(제주도지방).

참고문헌

『조선민요연구』(고정옥, 수선사, 194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