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노래

목차
구비문학
작품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생활감정을 읊은 민요.
이칭
이칭
줌치노래
목차
정의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생활감정을 읊은 민요.
내용

부녀요의 하나로, 경상도지방에서는 ‘줌치노래’라고도 한다. 중부 이남 지방에서는 삼삼기를 할 때 부르기도 한다. 이 노래의 내용은 주머니를 화려하게 만든 솜씨를 해와 달·별·무지개 등에 비유하여 극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노래는 주머니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서사시적으로 읊은 것이며, 문체는 대체로 문답형식을 취하고 있다. 가창 형식은 독창식의 음영민요(吟詠民謠)이다. 음영민요이기 때문에 음악적 가치는 없으나, 여인네들의 꿈과 낭만을 뛰어난 비유법과 문답법으로 표현한 아름다운 가사는 문학적 가치가 높다.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숲에숲에 영당숲에 뿌리없는 나무섰네

그 끝에라 여는 열매 해도열고 달도열고

가지벌려 열두가지 잎은피어 삼백이오

해는따서 줌치집고 달은따서 안을받쳐

상별따서 상침놓고 중별따서 중침놓고

무지동대 끈을달아 무지개로 선을둘러

서울이라 동백○에 연듯이라 걸어놓고

그줌치를 뉘지었노 그줌치를 잘지었네

해가운데 해바라기 달가운데 달바라기

…… (중략)……

서울이라 동백○에 연듯이라 걸어놓고

그 줌치값 몇냥인고 은을쳐도 열에닷냥

돈을쳐도 열에닷냥 서른냥이 제값이네

……(이하 생략)……”

참고문헌

『한국민요집』Ⅱ(임동권, 집문당, 197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