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 탈골암 ( )

목차
관련 정보
보은 법주사 탈골암
보은 법주사 탈골암
불교
유적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성덕왕 당시 창건한 암자. 법주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성덕왕 당시 창건한 암자. 법주사.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암자이다. 720년(성덕왕 19)에 창건하였고, 776년(혜공왕 12)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중건하였다.

그러나 속설(俗說)에 의하면 신라 탈해왕(脫解王) 때 경주 김씨의 시조인 알지(閼之)가 자기의 용모가 닭과 비슷함을 한탄하던 중, 속리산의 현 탑골암에 좋은 약수가 있다는 말을 듣고 와서 약수를 마시고 아름다운 인간의 용모로 바뀌었으므로 이곳을 탈골암이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또한 일화에 의하면 진표율사가 이곳에서 제자들을 깨우쳐, 생사윤회(生死輪廻)를 벗어나 해탈(解脫)하게 하였다고 하여 탈골암이라 불렀다 한다. 사명(寺名) 유래에 관한 두 설 중 후자의 설이 타당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뒤 1624년(인조 2)에 벽암대사(碧巖大師)가 중창하였으며, 6·25전쟁 때 전소되어 기와조각과 주춧돌만 남아 있던 것을 1954년의 중건과 1975년부터 영수(榮修)가 중창하기 시작하여 1977년에 삼성전을 짓고, 1990년에 선원을 건립하였다. 1993년에 발생한 화재로 법당이 소실되자 1995년에 다시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약사전·삼성전·대휴선원(大休禪院)·요사채가 있다. 약사전에는 높이 약 1m 되는 석조약사여래좌상과 후불탱화(後佛幀畵) 1점, 신중탱화(神衆幀畵) 1점이 있는데, 석조약사여래좌상은 양식으로 보아 고려 후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도 다층석탑 1기(基)와 범종(梵鐘)이 있으며, 옛 법당지에 연화대석(蓮華臺石) 1기가 있다. 이 절의 좌측에는 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유명한 약수터가 있고, 동쪽으로 400여m 떨어진 곳에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망개나무가 있다.

참고문헌

『사지』(충청북도, 1982)
『한국의 사찰』5 법주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