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인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에 있는 섬.
이칭
이칭
태안도(泰安島), 대안도(大安島), 태인도(泰仁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면적은 6.14㎢
소재지
전라남도 광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태인도는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에 있는 섬이다. 간척 사업을 통해 섬의 형태가 많이 변화되었으며 광양국가산업단지와 연결되어 있다. 태인대교를 통해 북쪽으로 진월면과, 섬진대교를 통해 동북쪽으로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과 각각 연결되며, 약 1,7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7°45′, 북위 34°57′에 위치하며, 금호도(金湖島)와 0.15㎞ 떨어져 있다. 면적은 6.14㎢이고, 해안선 길이는 11.7㎞이다.

명칭 유래

조선시대 문헌에는 태안도(泰安島) · 대안도(大安島) · 태인도(泰仁島) · 태인도(太仁島)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태인(太仁)은 태안(泰安) · 대안(大安) 등과 마찬가지로 ‘크다’는 의미에 유교적 개념을 담은 지명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섬은 원래 북동∼남서 방향의 타원형이었으나 간척 사업으로 동남쪽이 직선화되었다. 산지가 있는 북서 해안을 제외하고는 완만한 사면과 평지로 되어 있다. 광양 지역의 기후 자료(1991년~2020년)에 따르면, 1월 평균 기온은 1.9℃, 8월 평균 기온은 26.5℃, 연 강우량은 1,424.3㎜이다.

형성 및 변천

1896년에 돌산군 북면에 속하였다가 1899년에 태인면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에 광양군으로 이관되면서 골약면 태인리가 되었다. 1989년에 광양지구 출장소가 동광양시로 승격되면서 태인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에 동광양시와 광양군이 통합되면서 광양시 태인동이 되었다.

현황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1,743명(남 972명, 여 77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943세대이다. 2번 국도로 합류하는 59번 국도를 기준으로 서쪽은 주로 취락이, 동쪽은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이 0.58㎢, 밭이 0.44㎢, 임야 0.92㎢, 공장용지 2.63㎢ 등 과거에 비해 논과 밭의 면적은 감소하고 공장용지의 면적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태인도에 광양국가산업단지 명당2지구, 명당3지구와 같은 산업단지가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태인동은 우리나라 최초의 김 주1로 알려진 곳이지만, 매립 공사와 제철소 건설로 인해 어로와 양식업은 거의 쇠퇴하였다.

백제 말에 전우치(田禹治)가 이곳에 궁궐을 짓고, 지방 수령의 주2을 징계하여 백성을 구하였다는 전기(傳記)가 있다. 매년 정월 대보름에 풍어제를 지내고 마을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지신밟기와 농악놀이 등을 하며 즐겁게 보낸다. 고기잡이를 떠날 때 인사를 하지 않으며, 고기를 잡는 동안은 고기를 먹지 않고 배 위에는 여자를 태우지 않는 풍습이 있다.

교통은 태인대교를 통해 북쪽으로 진월면과, 섬진대교를 통해 동북쪽으로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과 각각 연결된다. 또 남서쪽에 위치한 태인교를 통해서는 광양제철소, 광양국가산업단지로 이동할 수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태인초등학교와 태금중학교가 있었으나, 2011년 태금중학교가 폐교되어 현재는 태인초등학교만 남아있다. 공공기관으로는 태인동주민센터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광양시지』(광양시, 2005)
『도서지』(내무부, 1985)
『신한국지리』(강석오, 대학교재출판사, 1984)
『제28회 광양통계연보』(광양시, 2023)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
통계청(https://kostat.go.kr)
해양수산부 연안포탈(www.coast.kr)
주석
주1

조선 인조 18년(1640)에 처음으로 김여익(金汝翼)이 김 양식을 한 곳.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도(太仁島)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말샘

주2

탐욕이 많고 포학함.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