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1736년(영조 12) 동생 유용(有容)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우수(閔遇洙)·이천보(李天輔)·오원(吳瑗)·황경원(黃景源) 등의 서문이, 권말에 안중관(安重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400여 수, 권4에 제문 6편, 서(書) 11편, 서(序) 1편, 발(跋) 2편, 기(記) 4편, 잡저 3편, 부록으로 행록(行錄)·유사·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연작(連作)으로 된 「채련곡(采蓮曲)」·「의염곡(擬艶曲)」, 빼어난 언어감각으로 시사(時事)를 표현한 「관투계(觀鬪鷄)」·「서호범주(西湖汎舟)」·「출곽추사(出郭秋事)」 등의 서정시, 그리고 이명집(李命集)·신사원(申思遠)·이집(李潗)·김수석(金壽錫) 등을 대상으로 한 만시(輓詩) 등 다양한 형식과 폭넓은 소재의 작품들이 실려 있다.
제문은 이세신(李世臣)·이문보(李文輔)·이희조(李喜朝) 등을 대상으로 지은 것이다. 서(書)는 주로 유배지에서 아버지와 동생, 그리고 김상리(金相履)·이천보 등에게 보낸 것인데, 그 중 동생 유용에게 보낸 6편의 편지에는 학문요령 또는 문장론 등에 대한 글이 있어 당시의 문장이론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기는 「유가야기(遊伽倻記)」·「유용천기(遊龍川記)」·「유동화기(遊桐華記)」 등 문학성이 뛰어난 기행문이며, 잡저에 실린 「동군전후술(東君傳後述)」·「어부도찬(漁父圖贊)」·「삼성도찬(三星圖贊)」 등은 저자의 사상적 경향과 문학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밖에 부록에 실린 글들은 큰 기대를 받으며 정계에 등장하였던 저자가 잦은 병고 끝에 33세로 요절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내용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