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강진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지명
신라통일기(新羅統一期) 서북지방에 설치한 군진(軍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통일기(新羅統一期) 서북지방에 설치한 군진(軍鎭).
형성 및 변천

신라는 삼국통일을 달성한 뒤 패강(浿江: 예성강 혹은 대동강) 유역의 고구려 옛 땅을 점유하고 있었다. 735년(성덕왕 34)에 당나라로부터 정식으로 이에 대한 영유권을 공인받게 되면서 이 지방의 개척에 착수하였다. 그리하여 748년(경덕왕 7)에는 예성강(禮成江) 이북에 대곡성(大谷城) 이하 14군현(郡縣)을 두었고, 762년에는 오곡성(五谷城) 이하 6성을 수축하여 태수(太守)를 두었다. 이 지역에 군현 설치 후 다시 6성을 설치한 것은 발해(渤海)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782년 선덕왕(宣德王)이 패강 남쪽 주 · 군(州郡)을 안무(按撫)하는 등 일련의 준비 작업이 끝난 뒤 782년(선덕왕 3)에 현재의 황해도 평산에 패강진(浿江鎭)을 설치하여 예성강 이북의 땅을 군정(軍政) 방식으로 통치하도록 하였다. 패강 지역은 패강진을 중심으로 하여 군사적 성격이 강한 하나의 독자적 광역권으로 묶여져, 한주(漢州)와 구분되는 특수구역으로 편제되었으며, 822(헌덕왕 14)에 김헌창(金憲昌)의 난(亂)이 일어났을 때에는 거병자수(擧兵自守)하기도 했다.

한편 헌덕왕(憲德王) 때에 패강진의 관할 지역은 더욱 북쪽으로 확대되어 취성군(取城郡) 및 그 영현(領縣) 셋을 신설, 이윽고 대동강(大同江) 남안에 이르게 되었다. 이때 10군현에서 다시 14개 군현이 증치(增置)되면서 그 관할범위가 늘어났으며, 그 이후 다시 재령강(載寧江) 이서의 평야지대에 12개의 군현이 추가 증치되어 26개의 군현을 거느리는 거대한 광역권으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9세기 후반경에는 패강진의 편제 및 운영체계도 새롭게 재편되었다. 패강진은 바로 이 지역의 군정을 맡은 패강진전(浿江鎭典)의 본영(本營)에 해당하였다. 패강진전에는 장관인 두상대감(頭上大監) 1인을 비롯하여 대감(大監) 7인, 두상제감(頭上弟監) 1인, 제감(弟監) 1인, 보감(步監) 1인, 소감(少監) 6인을 두었다.

신라 하대(下代)의 진(鎭)들은 대부분 군사적 거점으로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유독 패강진만이 10∼26개의 군현을 관할하는 광역의 군사적 특수구역으로 편제되었다. 또한 다른 진들의 경우 조직체계에 관한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는데 반해 패강진의 경우에는 패강진을 관장하는 외관직제(外官職制)의 조직체계가 전해지고 있어 다른 진들과 확연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7∼11세기 경기도 북부지역에서의 간선교통로 변천과 ‘장단도로(長湍渡路)’」(정요근,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131, 2005)
「신라하대 패강진(新羅下代 浿江鎭)의 설치(設置)와 운영(運營)」(강봉룡,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11, 1997)
「신라하대(新羅下代)의 패강진(浿江鎭)」(이기동, 『한국학보(韓國學報)』4, 1976;『신라 골품제사회(新羅 骨品制社會)와 화랑도(花郎徒)』, 일조각(一潮閣), 1984)
「新羅兵制における鎭典」(李成市, 『早稻田大學大學院文學硏究科紀要』別冊7, 1981)
「統一新羅の郡縣制と浿江地方經營」(木村誠, 『朝鮮歷史論集』上, 1979)
「新羅の郡縣制―特にその完成期の二三の問題-」(末松保和, 『學習院大學文學部硏究年報』21,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