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상대감은 『삼국사기』 권40, 직관지(하) 패강진전(浿江鎭典)조에 기록된 정원 1명의 장관직으로, 782년(선덕왕 3)에 설치되었다. 신라는 경덕왕 대에 새로 확보한 영토인 예성강 이북, 대동강 이남 지역의 패강 지역에 군현을 편성하면서 오늘날의 황해도 평산(平山) 지역에 대곡진을 설치하고 그곳을 다스리는 관직으로 두상(頭上)을 설치하였다.
그 후 782년(선덕왕 3)에는 이를 정비 · 승격시켜 본영(本營)인 대곡진과 그 주변의 7개 군과 7개 현 전체를 통치하는 기구로서 패강진전을 설치하는 한편 본영에 주재하는 장관직으로 두상대감을 설치하였다. 패강진전은 패강 지역을 군정(軍政) 방식으로 다스렸던 독특한 지배기구였으며, 그 장관인 두상대감에는 급찬(級飡) 이상 사중아찬(四重阿飡)까지의 관등을 가진 자가 임명되었다.
신라 말에 이르러서는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서 도호(都護)라고 이름을 고쳤다. 김유신의 후손인 병법의 권위자 김암(金巖)도 이를 역임한 바 있는데, 취임 자격에서 보면 두상대감은 육두품(六頭品) 출신이 차지할 수 있는 신라 최고의 외관직(外官職) 가운데 하나였던 것 같다. 그 아래에는 본영에서 업무를 보좌하는 두상제감이 있었고, 관할 군에는 대감과 제감, 현에는 소감 또는 보감을 두어 군사와 행정 업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