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당주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31종의 군관직 가운데 하나로서 왕도(王都), 육정(六停), 구서당(九誓幢), 삼무당(三武幢)의 구성 부대에 각 1명씩 배속된 군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524년(법홍왕 11) 또는 604년(진평왕 2)
소속
31종 군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군사당주(軍師幢主)는 신라시대, 31종의 군관직 가운데 하나로서 왕도(王都), 육정(六停), 구서당(九誓幢), 삼무당(三武幢)의 구성 부대에 각 1명씩 배속된 군관직이다. 정원은 19명이며, 일길찬(一吉飡)부터 내마(奈麻)에 이르는 관등 소지자가 임명되었다. 깃대에 달아 지위를 상징하는 화(花)는 1자 8치의 큰 호랑이 꼬리로 만들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31종의 군관직 가운데 하나로서 왕도(王都), 육정(六停), 구서당(九誓幢), 삼무당(三武幢)의 구성 부대에 각 1명씩 배속된 군관직.
내용

신라시대, 31종의 군관직 가운데 하나이다. 11종의 군관직 당주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인 524년(법흥왕 11)에 설치되었다. 일길찬(一吉飡)부터 내마(奈麻)에 이르는 관등 소지자가 임명되었다.

정원은 19명으로 왕도(王都)에 1명, 군호 육정(六停)을 구성하는 6개 부대와 구서당(九誓幢)의 9개 부대, 삼무당(三武幢)의 3개 부대에 각 1명씩 배속되었다. 군사감과 더불어 신라 23군호 가운데 13번째 군호인 군사당의 지휘관으로 유추되지만, 자세한 관계는 알 수 없다.

군사당주의 설치 시기와 관련하여 두 가지 기록이 있다. 하나는 제군관조에서 군사당주를 524년(법흥왕 11)년에 설치하였다는 기록이고, 또 하나는 범군호 군사당조에 군사당을 604년(진평왕 26)에 설치하였다는 기록이다. 이 두 기록에 관해 524년(법흥왕 11)에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맞다고 보는 견해와, 이를 법당주의 오기로 이해하고 군사당이 설치된 604년(진평왕 26)을 설치 시기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다른 군관직 당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설치되었으므로 그 설치 시기를 군사적 지방관인 당주의 설치 시기로 바꾸어 보거나 혹은 법당주의 설치 시기로 이해하면서 군사당주의 설치 시기를 군사당이 설치된 604년(진평왕 26)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금석문과 목간 등 새로운 관련 자료가 출현하였고, 또 6세기 전반 신라의 병제 정비 상황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약하다.

신라에서 상급 군관들은 맹수의 가죽이나 수리의 깃으로 만든 화(花)를 깃대 위에 달아 그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삼았는데, 군사당주의 화는 큰 호랑이 꼬리로 만들었으며, 길이는 1자[1자=30.30303㎝] 8치[1치=3.03㎝]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인철,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일지사, 1993)
武田幸男, 『新羅中古期の史的硏究』(勉誠出版, 2020)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東出版, 1974)

논문

이인철, 「신라의 군사조직과 그 운영실태」(『군사』 28,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99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