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성 지경동 고분 ( )

선사문화
유적
평안남도 평성시 지경동에 있는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굴식돌방무덤
건립 시기
삼국시대(5세기 전반)
관련 국가
고구려
소재지
평안남도 평성시
내용 요약

평성지경동고분(平城地境洞古墳)은 평안남도 평성시 지경동에 있는 고구려 굴식돌방무덤이다. 부황산의 남쪽 기슭에 20m 정도 거리를 두고 2기의 무덤이 자리하며, 서쪽에 있는 무덤이 1호분이고, 동쪽에 있는 무덤이 2호분이다. 1976년 평양역사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한 결과 두 무덤은 굴식돌방무덤으로, 돌방은 널방과 널길로 이루어졌으며, 널길의 좌우 양벽에 작은 감실이 있는 구조이다. 무덤에서 재갈, 발걸이, 안장, 말띠드리개, 말띠꾸미개 등 마구가 출토되어서 5세기 전반으로 비정된다.

정의
평안남도 평성시 지경동에 있는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발굴경위 및 결과

평성지경동고분은 평안남도 평성시 지경동에 있는 고구려 주1이다. 부황산의 남쪽 기슭에 20m 정도 거리를 두고 있는 무덤 2기를 1976년 평양역사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서쪽에 있는 무덤이 1호분이고, 동쪽에 있는 무덤이 2호분이다. 두 무덤 모두 주2주3로 이루어졌으며, 널길의 좌우 양벽에 작은 주4이 있는 구조이다. 무덤에서 주5, 발걸이, 안장, 주6, 주7 등 마구가 출토되어서 5세기 전반으로 비정된다.

형태와 특징

1호분의 널방은 남북 길이 3.7m, 동서 너비 3.6m 정도 크기의 방형 평면이다. 바닥에는 숯을 깐 후에 주8을 깔았고, 벽은 깬돌을 뉘어서 쌓아 백회를 발라서 벽면을 정리하였다. 널방과 널길 사이에는 양쪽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이 있으며, 서쪽 문은 높이 1.5m, 너비 0.55m, 두께 0.1m이다.

널방에서는 금동제 옥 · 주9 · 쇠화살촉 등이 출토되었다. 널방의 남벽 중앙에 널길이 있으며 너비는 1.2m이다. 입구는 세 장의 널돌을 세워서 막았는데, 널길의 서벽은 이미 파괴되었다. 입구에서 0.7m 정도 들어가 있는 서벽 감실에는 토기, 시루와 솥이 출토되었다. 동벽 감실은 입구에서 1m 정도 들어가 있으며, 이곳에서는 마구류들이 출토되었다.

2호분도 1호분과 같은 구조의 무덤으로 널방은 동서 너비 2.95m, 남북 너비 2.8m 크기의 방형 평면이다. 바닥은 숯으로 다진 후 돌을 깔았고, 깬돌로 축조한 벽은 회를 발라 정리하였다. 널방 남벽 중앙에 양쪽에서 열 수 있는 돌문이 있고, 문 한쪽은 길이 1.1m, 너비 0.44m, 두께 0.04m이다.

널방 바닥에서 널못, 주10 등과 금제 귀걸이, 쇠화살촉, 쇠칼 등이 출토되었다. 널길은 널방의 남벽 중앙에 자리하며, 길이 2.2m 되는 지점에서 널길을 폐쇄하였다. 서벽 감실에서 마구가 부장되었고, 동벽 감실에서는 항아리모양토기와 많은 양의 마구가 출토되었다.

의의 및 평가

1호분과 2호분에서 출토된 토기와 마구는 서로 비슷하다. 특히 이곳에서 출토된 발걸이는 발을 딛는 부분에 못이 있는 발달된 형태이다. 두 칸 구조가 간략화된 무덤의 구조와 마구 등으로 미루어 보아 5세기 전반경의 무덤으로 고구려 마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진인진, 2013)
東潮, 『高句麗考古學硏究』(吉川弘文館, 1997)

논문

강현숙, 「高句麗 古墳과 新羅 積石木槨墳 交叉編年에서의 몇 가지 論義」(『韓國上古史學報』 87, 2012)
박창수, 「평성시 지경동 고구려무덤 발굴 보고」(『조선고고연구』 1986-4, 1986)
주석
주1

깬돌로 널을 안치하는 널방(玄室)을 만들고 외부로 통하는 널길(羨道)를 만든 뒤 흙으로 씌운 무덤 양식.    우리말샘

주2

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    우리말샘

주3

고분의 입구에서 시체를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우리말샘

주4

사당 안에 신주를 모셔 두는 장(欌).    우리말샘

주5

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 보통 쇠로 만들었는데 굴레가 달려 있어 여기에 고삐를 맨다.    우리말샘

주6

말 띠에 달아 늘어뜨리는 넓적한 장식.    우리말샘

주7

주로 가죽끈의 엇갈리는 곳에 붙이는 말 장식.    우리말샘

주8

널판같이 뜬 돌.    우리말샘

주9

널을 짜는 데에 쓰는 못.    우리말샘

주10

널을 만들 재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